술자리가 잦은 연말 속쓰림이 지속된다면 알코올성 위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알코올성 위염 환자는 특히 40∼50대 중년 남성에게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알코올성 위염으로 진료를 받은 1만4천546명 가운데 남성이 72.2%, 여성이 27.8%로 남성이 여성보다 2.6배 많았다.
알코올성 위염은 알코올로 위점막이 손상돼 생기는 병으로,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간혹 명치나 상복부의 통증, 구토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환자 연령별로는 50대가 25.7%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2.1%, 30대 15.4% 순으로 뒤를 이었다. 40∼50대의 점유율이 47.8%로, 알코올성 위염 환자의 절반이 중년층인 셈이다.
20대에서는 여성 점유율이 54.8%로 남성보다 높은 점이 눈에 띈다.
알코올성 위염의 전체 환자는 해마다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8년 대비 33.4%가 줄었다. 이는 국민의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고 심평원은 설명했다.
심평원 관계자는 “알코올성 위염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금주”라며 “단번에 금주가 어렵다면 가급적 술의 양을 줄이는 절주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