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일각에서 조기 전당대회 개최 요구가 나오고 있지만 탄력을 받지 못하는 양상이다.
구주류 친이(친이명박)계인 이재오 의원이 지난 18일 대선 1년을 평가하면서 "책임질 사람은 책임지고 양보할 사람은 양보해야 한다"며 인적 쇄신론을 제기한 데 이어 정우택 최고위원은 23일 아예 "전략적 차원에서 조기 전대 또는 선대위 체제 검토를 해 볼 필요가 있다"며 조기 전대를 공론화했다.
이처럼 대체로 친이 등 비박(비박근혜)계나 중도파 인사들이 3월 이전 조기 전대를 주장하고 있으나 친박(친박근혜) 주류나 유력한 당권주자들은 6월 지방선거 이후 개최를 원하는 모양새다.
당 체제를 일신해 지방선거를 치르자는 의견과 전대를 개최할 경우 자칫 당권 다툼으로 자중지란에 빠질 수 있다는 주장이 대립하는 형국이다.
현재로서는 내년 5월 임기를 다하는 황우여 대표가 비교적 무난하게 당을 이끌어 온데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내년 지방선거 전망도 그렇게 나쁘지는 않은 것으로 나와 굳이 조기 전대를 해야 하느냐는 부정적 의견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친박 주류인 홍문종 사무총장은 2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방선거 이후 전당대회를 열자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조기 전대가 힘을 못 받는 데는 출마 의향을 보이는 의원들이 별로 없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이는 조기 전대를 개최할 경우 온전히 임기 2년을 채운다고 해도 차기 당 대표는 오는 2016년 4월 제20대 총선에서 공천권을 행사하기 어렵고, 그 외 최고위원들도 차기 공천 경쟁에서 꼭 유리하다고 말할 수 없는 현실론과 맥이 닿아 있다. 한마디로 차기 최고 지도부는 생각만큼 `실속`이 없다는 얘기다.
영남권의 한 다선 의원은 "지금 당내에 충청권을 제외하면 최고위원을 하려는 사람이 없다"고 귀띔했다.
3선 이상 다선 의원들이 대거 지방선거에 관심을 두면서 전대 후보군이 많지 않은 것도 조기 전대가 힘을 받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보인다.
현재 원유철(4선) 정병국(4선) 의원은 경기지사, 서병수(4선) 유기준(3선) 의원은 부산시장, 서상기(3선) 의원은 대구시장, 정갑윤(4선) 강길부(3선) 의원은 울산시장에 각각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이나 철도노조 파업 사태 마무리가 원활하지 못하고 박근혜 정부에 대한 지지율이 악화될 경우 조기 전대론이 힘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는 관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대보다는 내년 5월 열리는 원내대표·정책위의장 선거 출마를 저울질하는 의원들이 어느 때보다 많다. 차기 원내지도부가 후반기 상임위원장 및 상임위 배분 권한을 갖기 때문이다.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남경필 심재철 이주영 정병국 홍문종 의원 등이 거론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