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 국민 약 110만명, 45명 가운데 1명 꼴로 암과 더불어 살아가거나 암에 걸린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확률적으로 평생 남성 5명 중 2명, 여성 3명 중 1명이 암을 경험한다는 얘기다. 이처럼 암은 갈수록 흔해지고 있지만, 의료 기술 발달 등으로 초기 단계에 발견할 경우 대부분의 환자가 5년이상 살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는 26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1년도 암 발생률ㆍ생존율ㆍ유병률 통계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2012년 1월 현재 ‘암 경험’ 인구는 모두 109만7천253명(여성 60만5천748명ㆍ남성 49만1천505명)으로 집계됐다. 암 경험 인구는 전국 단위 암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1년말까지 암 진단을 받은 사람 가운데 2012년 1월 기준으로 생존한 사람을 말한다. 이를 전체 인구(2011년 기준 5천11만1천483명)와 비교하면 현재 국민 45명당 1명이 암 치료를 받고 있거나 암 치료 후 살아있는 셈이다. 이같은 발병 현황으로 미뤄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 수명(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9%로 분석됐다. 성별로는 남성(평균 수명 77세)의 5명 중 1명, 여성(84세) 3명 중 1명이 평생 한 번은 암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됐다. 암 종류별로는 갑상선암이 가장 흔했고, 이어 위암ㆍ대장암ㆍ유방암ㆍ폐암ㆍ간암 등의 순으로 암 경험자가 많았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11년만 따져보면 남성 11만151명과 여성 10만7천866명 등 모두 21만8천17명이 새로 암 환자로 파악됐다. 한 해 가장 많이 발생한 암도 갑상선암이었고, 위암ㆍ대장암ㆍ폐암ㆍ간암ㆍ유방암ㆍ전립선암이 뒤를 이었다. 갑상선 암은 1999~2011년 연평균 증가율에서도 23.7%로 1위였다. 전립선암(13.5%)·유방암(5.9%)·대장암(5.6%)도 전체 암 연평균 증가율(3.6%)을 웃돌았다. 암 환자 증가와 더불어 암 환자의 생존율도 계속 높아지는 추세이다. 2007~2011년 암 진단을 받은 환자가 5년이상 생존할 확률(5년 생존율)은 66.3%로, 지난 2001~2005년 진단 환자의 53.8%보다 12.5%포인트(P)나 올랐다. 최근 크게 늘었으나 치료 예후가 좋은 갑상선암을 빼더라도 같은 기간 5년 생존율은 50.5%에서 59.5%로 개선됐다. 암 종류별 5년 생존율(2007~2011년)은 갑상선암(100%)ㆍ전립선암(92.0%)ㆍ유방암(91.3%)ㆍ대장암(73.8%)ㆍ위암(69.4%) 순으로 높았다. 반면 간암(28.6%)ㆍ폐암(20.7%)ㆍ췌장암(8.7%) 등은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낮았다. 특히 암이 처음 발생한 장기에서 벗어나지 않은 ‘국한(localized)’ 단계에서는 전립선ㆍ갑상선ㆍ유방ㆍ대장ㆍ위 암의 5년 생존율이 90%를 넘었고, 인접 조직 또는 림프절에만 침범한 ‘국소(regional)’ 단계에서도 갑상선ㆍ전립선ㆍ유방 암은 거의 90%에 육박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