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정부의 적조 대응 중장기 종합대책 확정에 따라 앞으로 단계별 세부추진계획을 수립 전방위 대응 체계 구축으로 적조 내습시 피해를 최소화 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마련한 종합대책은 적조대응 시스템 구축, 정확한 사전예측체계 개발, 자연재해에 강한 양식시스템으로의 구조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측·예보 기능강화 부문은 예보체계를 현행 주의보, 경보 2단계에서 에서 관심, 주의보, 경보 3단계로 세분화하고 발령기준을 조정 신속한 대비가 가능토록 할 예정으로 조사 주기가 단축되고 모니터링도 확대되고 발생 → 이동·확산 → 양식장 유입 등 발생~소멸 全 단계의 예방·피해저감 기술을 개발하는 등 R&D도 확대된다.
가두리 양식시설을 안전한 해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내년부터 5년간 상습피해어장 양식시설을 개선하며, 적조에 강한 종류로 양식품종 변경을 유도하고 전환 시설비도 지원한다.
또 육상 양식단지 개발과 외해양식을 늘리는 등 고소득 품종의 안정적 대량 생산 기반을 구축키로 하는 등 양식어장 구조개편도 추진된다.
어업인에게 3~5년 주기 어장청소 의무 부과 어장환경평가 기준에 미달되면 어업권 재면허가 금지하는 등 . 해양환경 관리강화 방안도 추진된다.
적조 피해 회복을 위한 양식수산물 재해보험 가입기준이 완화되고 대상 품목도 확대해 재해보험 가입을 유도하고 새로운 방제물질·장비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기간도 단축된다.
이두환 경상북도 동해안발전추진단장은 “정부의 계획에 따라 경북도 실정에 맞는 종합대책을 단계별로 수립해 어업인들이 선호하고 요구하는 방제대책 부분을 우선 지원키로 했다”며 “우선 육상양식장 취수시설 개선에 12억원을 투입 내년 적조 내습 전 사업을 마무리하는 등 매년 여름이면 되풀이 되는 적조 피해를 최소화해 어업인의 시름을 더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