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바다 해수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쉽게 나타낸 표준 동해 표층해류도가 해방 후 처음으로 나왔다.
국립해양조사원이 최근까지 관측·수집된 해류자료 분석결과와 함께 3년여 간 국내 해류 전문가들로부터 수렴한 의견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같은 표준해류도는 해방 후 60여 년 만에 최초의 성과물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와 백과사전 등에는 일제강점기인 1934년에 일본인 해양학자 우다(宇田)가 제작한 해류도나 그때그때 개별전문가에 의해 제시된 해류도가 실렸고 국내 해양학계에서 일반적으로 공인할 수 있는 해류도는 지금까지 없었다.
새로 나온 동해 표층해류도는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난류와 한류를 색깔로 구분하고 그 세기와 폭은 화살표 두께로 표현했다.
또 해류를 해저지형 배경에 표시해 동해바다를 3차원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동해 표층해류를 그림으로 나타낼 때 유의해서 표현해야 할 사항은 해류전문가 자문과 한국해양학회·한국지구과학회 회원 대상 설문조사, 한국해양학회 토론회 등을 통해 완성된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정밀하게 나타냈다.
대한해협 및 대한해협 통과 후 해류 분지, 동한난류 연안주축거리, 동한난류 이안과 북상 한계, 일본 연안을 따라 흐르는 대마난류, 동해 중앙부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대마난류의 경로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동해 해류도에 이어 내년에는 우리 바다에 영향을 주는 북서태평양 해류도를 완성할 예정이다. 또 관측자료 융합형 3차원 해양수치모델을 이용한 동해 중층과 저층에 대한 3차원 해류도 제작연구도 계속할 계획이다.
이 해류도는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https://www.khoa.go.kr/)에서 볼 수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