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쇄신 논의가 표류하고 있다.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 수행비서의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디도스(분산서비스거부) 공격 파문이라는 `악재`에 따른 것으로,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쇄신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다.
김기현 대변인은 최고위 직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5일) 쇄신 논의는 없었다"며 "경찰 수사 등과 관계없이 빠른 시일 내 쇄신 논의를 위한 최고위를 할 것이고, 그때 마무리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 이날 최고위에서는 디도스 파문, 내년도 예산안, 론스타 문제 등이 화두에 올랐다.
전날 구체적 쇄신 방향ㆍ내용ㆍ절차를 논의하기 위해 소집된 최고위에서도 쇄신 문제 대신 디도스 파문에 초점이 맞춰졌다.
한 핵심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 쇄신 문제를 논의할 때가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따라서 한나라당의 쇄신 `속도 조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참패 직후 쇄신론이 불붙었지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문제로 한차례 연기된 쇄신 논의가 `디도스 파문`에 또다시 발목이 잡힌 모양새다.
나아가 `디도스 파문` 자체가 쇄신론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한 쇄신파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디도스 사건에 정부ㆍ여당이 어떤 형태로든 조금이라도 개입됐다는 게 확인될 경우 한나라당은 문을 닫아야 한다"고 밝혔다.
아직까지는 소수의 목소리인 `신당 창당론`, `재창당론`이 확산될 수 있고, 박근혜 전 대표의 `조기 등판론`이 급부상할 수 있다.
여기에 예산국회 막바지라는 점도 쇄신 논의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당면 과제인 상황에서 쇄신 문제가 당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다만 한 핵심당직자는 "쇄신 논의가 늦춰지는 김에 쇄신안을 깔끔하게 정리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