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올 한 해 철강경기 불황에다 신용등급 하락, 국세청 세무조사, 회장 사의 표명, 안전사고 등 각종 악재로 ‘동네북’으로 전락했다. 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내년 2월 주총을 기점으로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대대적인 인적쇄신 등 기업경영 정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경제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 16일 저녁 8시30분께 포스코 포항제철소 파이넥스 3공장 신축공사장 현장에서 포스코건설 하도급 업체 직원 최모(53)씨와 구모(34)씨 등 2명이 질식해 숨진 채 발견됐다. 같은 날 오후 2시30분께에는 포항제철소 내 포스코켐텍 석회소성공장에서 난간 안전지대 확장을 위한 용접작업을 하던 포스코켐텍 하도급 업체 직원 김모(47)씨가 6m 아래 바닥으로 떨어져 숨지는 등 하루에만 포항제철소 내에서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포항제철소에서는 지난 7월에도 4고로에서 거센 폭발음과 함께 불길이 치솟아 공장 부근 건물과 주택 유리창이 깨지고 주민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으며 지난 3월에도 화재가 일어나는 등 각종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같은 사고는 포스코 악재에 비하면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철강업 부진이 포스코 실적 악화로 이어져 올 3분기까지 4분기 연속 영업이익 1조원 달성에 실패했으며 지난 3분기에는 영업이익률도 4.18%로 떨어졌다. 2004년 25.5%에 비하면 10년 사이 5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한 것이다. 실적 악화와 부채 비율 증가는 신용등급 하락을 부추겼는데 S&P는 2011년 포스코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낮춘 데 이어 지난해 10월 ‘BBB+’로 다시 한 번 떨어뜨렸으며 무디스도 최근 `Baa2`로 한 단계 강등했다. 여기에다 국세청의 전방위 세무조사와 정준양 회장의 사의 표명이 이어지면서 차기 회장을 두고 일부 언론매체의 추측성 기사가 연일 쏟아지면서 포스코가 ‘동네북’으로 전락하고 있다. 지난 10월에는 포스코가 지난해 동반성장위원회에 제출한 공정거래협약 이행실적 자료 일부가 허위로 조작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기업 이미지와 도덕성에 중대한 타격을 입었다. 공정위는 포스코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직권조사 2년 면제 지위를 박탈했고 동반위도 포스코에 부여된 우수등급을 취소했다. 특히 9월 들어 시작된 국세청 세무조사 칼날이 서울, 포항, 광양 등에서 동시다발로 진행되고 계열사와 협력사까지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엎친데 덮친 상황이다. 지난 4월에는 포스코에너지 한 임원이 서비스 불만을 이유로 승무원을 폭행한 사건이 알려지면서 포스코는 전 국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는 등 포스코로서는 올 한 해가 최악을 기록할 전망이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올해 만큼 가혹했던 해가 없었다”면서 “내년에는 심기일전해 기업정상화를 위해 전직원이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상휘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