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8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이인선 정무부지사를 비롯한 원자력 분야 전문가들이 ‘경북은 왜!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인가?’라는 주제로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이날 열린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정책세미나는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지난 2012년 국책사업으로 선정된 후, 지역 차원에서 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시급성 점검과 원자력 안전ㆍ경제 활성화ㆍ주민수용성 측면에서 원자력클러스터조성사업의 성과와 앞으로의 추진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인선 경북도 정무부지사는 “전력수요의 동고하저(冬高夏低)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고 OECD국가 중 단위국토면적당(1㎢) 전력밀도 및 전기화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가 바로 대한민국”이라며, “발전설비 투자비용과 에너지원간에 불균형문제도 심각한 현 시점에서 모든 원전을 멈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원자력시설 안전성에 대해 조선대 정운관 교수는 국가 원자력 역사와 일본 후쿠시마 사고 고찰을 통해 미래의 원자력을 위해 기술적 측면과 법ㆍ제도적 측면에서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할지에 대해 발표했다.
대구경북연구원 정군우 박사는 “경북도가 추진 중인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사업이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서 지역산업과 연계 및 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법ㆍ제도적 기반 확충과 더불어 원자력 제염해체시장과 같은 원자력 新시장 선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심기보 실장은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요 이해관계자인 지역주민, 정부, 시민단체 간 서로의 관심사항에 대한 공유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인선 정무부지사는 “경북도는 낙후된 지역경제 활성화와 삶의 질 향상까지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연결고리로 원자력클러스터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며 “사업 추진은 지역 주력 및 신산업과의 조화로운 연계와 융합을 통해 지역주민들이 만족스러워 하고 지지해 주는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