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10일 예산안조정소위(예산소위)를 가동하고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세부 심사에 들어갔다.
사업별 예산의 삭감·증액 결정을 내리는 예산소위는 국회 예산심사의 `최종 관문`으로, 통상 삭감과 증액 심사에는 각각 1주일가량 소요된다.
이에 따라 예결위는 다음 주까지 예산소위 심사를 마무리하고 나서 가능한 한 신속하게 예산안을 의결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정대로 순항할지는 미지수다.
무엇보다 민주당 양승조 최고위원의 박근혜 대통령 `선친 전철` 발언과 장하나 의원의 `대선 불복` 선언에 강력 반발, 새누리당이 국가정보원개혁특위 의사일정을 거부하면서 예결위에도 불똥이 튈 조짐이다.
이날 새누리당의 요구로 국정원개혁특위가 파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민주당 측 예결위원들은 예산소위 참여를 일단 보류하고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예산소위는 당초 일정보다 1시간가량 늦게 시작됐다.
민주당은 일단 예산소위를 정상적으로 가동하되 새누리당이 국정원개혁특위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계속 `보이콧`한다면 예산심사 일정도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예산심사 방향을 놓고서도 양당의 의견은 첨예하게 엇갈리는 상황이다.
예산소위가 이날 안전행정부와 미래창조과학부 예산을 심사하는 가운데 민주당은 새마을운동지원(23억원), 창조경제 기반구축(45억) 등 이른바 `박근혜표 예산`에 대해 대거 삭감 의견을 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과제 예산은 꼼꼼히 챙기겠다는 입장이어서 여야 간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예결위 관계자는 "국정과제 예산은 금액이 많고 적고를 떠나 정치쟁점화할 공산이 있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