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내 철강경기 회복세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포스코경영연구소(포스리)의 ´2014년 경제산업전망´에 따르며 2014년 국내 철강 수요는 소폭 개선되지만 국내외 공급과잉이 철강경기의 본격적인 회복을 제약할 것으로 예상했다.
포스리에 따르면 내년도 철강내수는 자동차 및 건설용 수요의 소폭 증가와 2년 연속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등에도 조선용 수요의 부진 지속으로 1%의 미약한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특히 조선은 선박 해체 급증에 따른 선박 과잉 완화 및 조선사들의 저가 수주 개시로 전년대비 신규 수주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건조 감소세는 2014년에도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전은 글로벌 수요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현지 생산 확대로 수출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시장으로의 역수입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이런 가운데 철강 수출은 동남아 등 신흥국의 수요 호조에 힘입어 5%이상 증가하여 2012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중국, 일본과의 수출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수입재 압력도 여전해 국내업체 경영난이 지속될 우려가 있다.
내년 연간 수입량은 여전히 1천900만t 내외를 유지할 전망이다.
포스리는 전반적으로 2014년 국내 철강시장이 2013년보다는 개선되겠으나 여전히 리스크가 존재해 철강업계로서는 여전히 쉽지 않은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장상휘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