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한 오승환(31)이 일본 프로야구 공략을 위해 `변화구`를 가다듬는다.
오승환은 5일 서울시 송파구 선수촌 병원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에서도 한국에서 하던 대로 하겠다"고 하면서도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어 보였다.
150㎞를 넘나드는 오승환의 무거운 돌직구는 일본에서도 유명하다.
올해 들어 구사율을 20% 가까이 끌어올린 140㎞대의 슬라이더도 일본이 주목하는 공이다.
4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리츠칼튼호텔에서 열린 오승환의 한신 입단식에 참석한 일본 취재진은 "두 가지 구종으로 일본 타자들을 상대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오승환은 "아직 나는 투 피치 투수(두 가지 구종을 주로 던지는 투수)다"라고 했다. 이어 "일단 일본에서도 기본적으로는 직구, 슬라이더로 승부할 생각이다. 필요하다면 새로운 시도도 할 수 있겠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그럴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오승환은 `필요한 상황`을 대비하고 있다. 오승환은 5일 "모르는 분도 있겠지만, 올해 스플리터를 던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오승환은 올해 후반기부터 스플리터를 가끔 던졌다.
국내 구단 전력분석원이 `체인지업`으로 분류했던 공이다.
오승환은 "내가 상대적으로 손가락이 짧아서 `포크볼`을 제대로 던지지 못한다. 손가락(검지와 중지)을 조금 벌려 스플리터를 던져봤다"고 설명했다.
야구 전문가들은 "완벽한 마무리 오승환의 단점을 굳이 꼽자면, 구종이 단순한 편이라는 점이다. 좌타자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는 공이 있다면 더 좋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승환도 고민했던 부분이다.
좌타자의 몸쪽으로 향하는 슬라이더만 던지던 오승환이 올해 가끔 바깥쪽으로 흐르며 떨어지는 스플리터를 시험했다.
그는 "안 던지는 날이 더 많았다"고 했지만 오승환을 상대하는 타자들은 "그동안 보지 못했던 공이 온다"며 놀라워했다.
오승환은 "직구와 슬라이더를 제대로 던지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변화가 필요할 땐, 변해야 한다"고 했다.
스플리터까지 장착한다면 마무리 오승환의 매력은 더 커진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