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개혁안을 마련하기 위한 국회 국정원 개혁특위의 위원 선정을 놓고 여야 간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국정원의 국내 정보활동 통제`, `국회의 국정원 예산 통제권 강화`, `사이버심리전 활동 규제` 등 쟁점별로 여야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각자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한 전략적 고려 하에 특위 위원 명단을 짜면서 신경전이 일찌감치 시작된 것이다.
새누리당은 여당 몫으로 배정된 국정원 개혁특위의 간사와 위원 등 7명의 인선을 놓고 부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위가 입법권을 가진데다 민주당이 위원장을 맡게 된 만큼 새누리당의 대표격인 특위 간사를 누구에게 맡길지 고심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정보위원회 위원장과 간사 모두 당 지도부가 `4자 회담`에서 합의한 특위 설치에 반발하고 있어 당내 불만과 국정원 개혁에 대한 여러 요구사항까지 아우를 수 있어야 하는 상황이다.
참여 위원으로는 정보위 소속 의원과 국정원 댓글의혹 사건 국정조사특위 출신 의원들이 우선적으로 거론된다.
전날 언론에 새누리당 권성동 김재원 이철우 조원진 김도읍 송영근 조명철 의원 등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자 민주당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가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를 찾아가 명단 조정을 요청한 것으로도 전해졌다.
언론에 거론된 인물 중 상당수가 대표적 대야 공격수로서 국정원 개혁안을 마련하기 위한 이번 특위에서도 양당 간 공방만 벌이다가 성과를 내지 못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민주당은 야당 몫의 특위 위원장에 당 대표를 지낸 5선의 정세균 의원을 임명했다. 중량감있는 인사를 통해 반드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위원장으로 내정된 정 의원이 직접 위원 인선을 진행, 이날 김한길 대표에게 함께 할 특위 위원으로 문병호(간사), 정청래, 민병두, 최재성, 최민희 의원 등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선의 최민희 의원을 제외하면 모두 재·삼선 의원으로서 협상력, 무게감을 주요 인선 기준으로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문병호 의원은 율사 출신이라는 점이, 정청래 의원은 국정원 소관 상임위인 정보위의 야당 간사라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민병두 의원은 당 전략홍보본부장으로서 그동안 국정원 개혁특위와 관련한 대여 협상을 진행해온 점과 당 지도부와 특위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명 몫의 비교섭단체 특위 위원은 무소속 의원으로 배정돼 안철수 의원 측 송호창 의원이 참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