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는 국내 최초의 모노레일 건설과정에서 핵심기술인 신호케이블 절연블럭(GRC블럭) 등 3건의 신기술을 개발해, 특허를 획득했다. 또한 모노레일의 핵심기술인 신호케이블 절연블럭(유리섬유 강화시멘트)은 종전에는 일본제품을 사용했으나, 단가가 비싸고 시공기간이 장기간 소요돼 본부와 시공사 직원들이 다양한 연구를 한 결과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시편을 제작해, 수차례 시험시공을 거쳐 마침내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번 개발 특허는 건설사상 유례없는 성과로서 공기단축 및 사업비 절감, 고용유발, 로열티 등의 수익을 발생시킨다. 지난 2011년 5월 19일은 특허청에 신호케이블 절연블록(GRC블럭) 제작에 대한 특허출원 신청을 통해 지난해 2월 15일 특허를 받았다. 또한 대구시와 ㈜두리이앤씨가 원천기술을 보유하게 됐고, 3호선 건설에 적용함으로써 일본제품 사용대비 118억 원 정도의 예산절감 효과를 거뒀다. 3호선 모노레일 PSC궤도빔 제작몰드는 기존의 중국, 일본에서 사용하는 20~25m용 장치보다 지간이 더 긴 30m용으로 대구시를 비롯해 유니슨이테크(주) 등 12개 시공업체들이 해외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하는 등 수많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세계 최대의 지간거리 30m용 제작몰드 국산화에 성공해, 지난해 12월 10일 특허를 받았다. 또한 지난 2011년 3월초 신기술을 적용한 3호선 노선 23.9 5km에 설치될 30m궤도빔 제작을 시작해 지난 5월까지 1,316본(직선빔 951본, 곡선빔 365본) 제작 완료했고, 지난 6월 초 전 구간 궤도빔 설치를 완료했다. 따라서 핵심기술을 선점함으로써 향후 국내외 타 도시에서 모노레일 건설시 기술사용료를 받을 수 있으며 세계 최초로 30 m PSC 궤도빔 설치로 교각숫자가 크게 감소(25m궤도빔 사용 대비 142개 감축 효과)해 도시경관 개선에 획기적인 기여를 하게 됐다. 한편 김범일 대구시장은 “3호선 모노레일이 명실상부한 세계 1등 명품 대중교통 수단으로 거듭나 시민들의 안전, 그리고 나아가서는 지역의 핵심 관광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남은 공정과 기술시운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영준기자 joeyj@ksmnews.co.kr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