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녀` 의혹이 제기된 채모 군의 가족부를 무단 조회하는 과정에 연루된 서울 서초구청 조이제(53) 행정지원국장은 3일 "청와대 행정관의 부탁을 받고 조회했지만 그걸 어디에 쓸지는 몰랐다"고 말했다.
조 국장은 이날 구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타인의 가족부를 정당한 목적 외의 용도로 불법 조회한 경위에 관해 "조 행정관의 고향이 안동이고 아이(채모군)가 대구라서 친척 서류 작성에 필요한 (민원인) 줄 알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조 행정관이 채군의 이름과 본적(대구), 주민등록번호 등 3가지 개인정보를 문자로 보내줬다. 가족부를 조회하려면 3가지 정보가 일치해야 한다"며 "조회를 했는데 주민번호 오류 메시지가 떠서 조 행정관에게 말했더니 다시 보내줬다"고 설명했다.
조 국장은 "이런 식의 요청은 예전에는 받아본 적이 없다. 법적으로 어떻게 되는 것인지도 몰랐다"며 "고향도 비슷하고 해서 문자 요청이 오니까 대답을 해줬고 응해줬다"고 주장했다.
조 국장은 조 행정관과의 친분에 대해 "내가 서울시에서 일할 때는 몰랐던 사람인데 당시 시장 비서로 일했던 후배가 이명박 정부 들어 청와대로 들어가면서 그 후배와 같이 행정관 모임을 할 때 만나 알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조 행정관과 총 6번의 휴대전화 문자를 주고받았다고 말했다.
조 국장은 6월11일 채모군의 이름과 본적, 주민등록번호를 보내며 사실 여부를 확인해 달라는 문자 부탁을 조 행정관에게서 받았다.
이에 `알았다`고 문자로 답했고, 가족부 조회를 시도했다가 실패하자 다시 문자로 `아니다`는 내용을 조 행정관에게 보냈다. 조 행정관은 주민번호를 다시 보내줬다.
조 행정관은 이어 6월13일에 조 국장에게 `고맙다`는 내용의 문자를 보냈고 이에 조 국장은 `밥 한번 먹자`는 내용의 문자를 보냈다는 설명이다.
조 국장은 이 같은 내용을 지난달 28일 검찰 소환조사에서 상세히 진술했다고 말했다.
조 국장은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과의 인연에 대해서는 "3월에 내가 (원세훈 전 원장 관련 사건으로) 참고인 조사를 받은 적이 있는데 당시 원 전 원장에게 전화했더니 오지 말라고 했다. 그게 마지막"이라며 "이후에는 만나거나 전화 통화를 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휴대전화 문자를 왜 삭제했는지에 대해서는 "스마트폰인데 문자가 많이 와서 수시로 지운다"며 특별한 목적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