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와 희귀질환치료제는 가격이 비싸더라도 건강보험에 진입할 수 있게끔 시장진입 문턱을 낮춰주는 대신 매출액의 일부를 건보 재정에 환원하도록 하는 `위험분담제`가 연말부터 시행된다. 건강보험공단은 2일 서울 마포구 염리동 본사 강당에서 열린 `약가협상 및 제도 설명회`에서 오는 27일부터 시행되는 `위험분담 약가협상 운영방안`을 공개했다. 위험분담 약가협상이란 건강보험당국이 경제성이 떨어지는 신약에 건강보험을 적용해주는 대신 지나치게 많은 건보재정이 지출되지 않도록 제약회사가 매출액 일부를 내놓기로 합의하는 것이다. 이 제도의 적용 대상은 항암제와 희귀난치성질환치료제 등 위중한 질환에 쓰이거나 사회적 영향이 큰 치료제들이다. 현재 약가협상 제도는 높은 보험약값을 받으려는 제약사와 가격을 낮추려는 건보당국이 팽팽히 맞서 협상이 결렬되는 일이 빈번하다. 약값 협상이 난항을 겪는 일이 많아, 신약의 건보 진입에 1년 이상이 걸리는 실정이다. 희귀·난치성질환 환자들은 신약이 나오고도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비싼 약값을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위험분담제는 신약 약값 부담을 건보당국과 제약회사가 나눈다는 뜻으로, 제약회사는 높은 약값이 책정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협상제도보다 유리하고, 건보공단은 재정지출을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환자는 현재의 약값 협상 방식보다 더 빠르게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 제도가 환자와 건강보험의 재정부담을 늘릴 뿐 혜택은 불확실하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최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위험분담 약가협상제와 관련, `제약업계의 민원 해소 정책`이라며 재검토를 요구하는 성명을 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