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인구 고령화로 치매 유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도내 3개 의료원을 ‘치매 극복’거점 병원으로 지정ㆍ운영한다.
도민들에게 가장 쉽게 치매 정보를 알리고, 치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을 위한 치매 지킴이 특별교육을 실시하고 2014년 치매 극복을 위한 중점사업으로 200개소의 ‘예쁜 치매쉼터’와 대학생 ‘치매검진사’2,000명을 양성한 계획이다.
그 동안 치매 극복을 위해 도내 3개 의료원에서 치매 환자 정밀 검진과 내원하는 환자 및 보호자 6400여명에게 치매 인식 교육을 실시했다.
경북도는 2014년 ‘치매극복’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27일부터 3일간 3개 포항, 김천, 안동 등 권역별로 시ㆍ군 보건소와 함께 설명회를 갖고, 내년도 치매 극복 사업 협력 방안과 치매 정밀 검진사업 등에 대해 열띤 토론을 갖는다.
또 치매에 대한 인식개선 및 예방교육 강화를 위해 각종 행사 시 도민들에게 가장 쉽게 치매 정보를 알릴 수 있는 맞춤형 특별 교육 계획도 마련했다.
지난 14일 경북도 재가노인복지협회 연수회 참여자 300여명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홍보영상물(잊지마세요), 경북도 ‘치매극복’3개년 프로젝트, ‘치매 예방관리 10대 수칙’등에 대한 특강을 실시 교육 참여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았다.
오는 연말까지 보건진료전담공무원 성과대회 및 노인복지시설 관계자 워크숍 행사 등 참여자 1000여명에게 치매 예방 특강을 실시할 계획이며, 2014년에 치매 예방 특별 교육을 실시 ‘치매가 있어도 불편하지 않는 곳, 경북’의 치매 예방 비전을 실천한다.
또, 오는 12월에 개소하는 경상북도광역치매센터에서 보건진료원 300명, 우리마을 건강파트너 3000명, 독거노인생활관리사 750명, 방문보건인력 200명 등 모두 4000여명을 지역사회 ‘치매 코디네이터’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한편 경북도 박의식 보건복지국장은 “도내 3개 의료원이 치매 극복 거점 병원으로 지역사회 중추적 역할과 함께, 치매 인식 개선을 위한 맞춤형 특별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치매 지킴이 역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