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는 지난 22일 ‘제266회 2차정례회’3차본회의를 개최해 경북도와 도교육청 등 집행부 대한 질의ㆍ답변을 진행했다.
이날 첫번째 질의에 나선 ▲이영식(안동) 도의원은 “안동시ㆍ예천군의 행정구역 이원화에 따른 여러 문제점 발생부분에 대한 해결책으로 안동시와 예천군 신도시를 포함한 ‘광역적인 도시계획’수립을 촉구”했으며, 이어 ▲기획경제위원회 장세헌(포항) 도의원은 도내 전체 저수지의 수질오염에 대한 지적에서, 도내 중점관리 대상인 4등급 이하 저수지가 33개소로 82.5%에 달하며, 특히 수질등급 중 최하등급인 6등급인 곳이 13개소로 조사대상 저수지의 32.5%에 달하고 있어 사안의 심각성에 대한 지적과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또, 도교육청에 대한 질의에서 교육위 소속의 ▲최우섭 의원(교육의원)은 적정규모 학교정책과 관련해서 학교 통폐합 대책 강구와 학교통폐합에 따른 유휴 행정재산 활용 방안 지적을 통해 “학생 수가 감소하는 농ㆍ산ㆍ어촌지역 학교를 통ㆍ폐합하는 것만으로는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전인교육을 위한 소규모 학교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김명호 도의원(문화환경위원회)은 이스탄불 엑스포에 유교ㆍ선비문화를 담지 못한 것은 큰 잘못이라고 지적하고, 안동 및 북부지역을 ‘세계유교ㆍ선비문화의 메카’로 선언과 세계정신문화 이끌 ‘그랜드 디자인’수립, ‘세계유교ㆍ선비문화(또는 도산)포럼’개최를 주문하고, 신도청 이전과 관련해서는 도청신도시 이전지역의 ‘전원형 생태도시’건설과 ‘명품도시’건설 공약 이행을 거듭 촉구했다.
이날 도청신도시 이전과 관련해 김 의원은 “절토와 성토를 최대한 억제해 법면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자연환경과 경관을 최대한 살려야 한다”며, 도로사면의 경우 3m 이내, 녹지사면의 경우엔 5m 이내를 집행부에 상기 시켰다. 이어 김 의원은 “경북개발공사는 도청신도시 조성과 관련해, 수차례나 보고를 생략한 채 시공편의와 공사비절감을 내세워 과도한 절토를 감행했고, 그 결과 5m 이상 최고 13m에 이르는 법면이 여러 곳에서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신청사 앞의 특화주거단지는 자연지형을 살려 친환경적으로 조성토록 의결됐음에도 불구하고, 신도시건설위원회의 승인도 없이 임의로 절토를 강행해 산을 평지로 둔갑시켜 원형을 훼손하고 또한, 도로개설로 녹지가 단절되지 않게 하기 위해 당초 ‘50m에 이르는 생태터널’계획을 비용절감 등 여러 이유를 들어 생태터널을 ‘10m로 축소’시키고, 생태터널 주변지역의 도로사면의 높이가 기준을 초과하게 되자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 또 불법으로 원형녹지를 훼손한 사례를 지적했다. 아울러, 주산인 검무산 인근의 수려한 사유림에 묘지가 증가되는 추세에 따른 주변 경관의 훼손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대희 경북도청이전추진본부장은 “개발행위제한 등 난개발 방지를 위한 별도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 시ㆍ군에 협조를 요청해, 주변 난개발 우려가 없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