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당사국 총회에 참석한 회원국들이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를 마련키 위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지만 온실가스 감축을 놓고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줄다리기로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했다.
190여개 회원국들은 23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2주 동안 열린 당사국 총회를 마무리 짓고 2015년 파리 총회에서 채택될 예정인 새 기후변화 협약을 위한 로드맵에 합의했다.
회원국들은 2020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 이후 새로운 기후변화 협약을 마련하는 데 `기여(contributions)`하기로 의견을 함께했다.
또 기후 변화의 원인이 돼 온 무차별 삼림 파괴를 억제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 가량의 재원을 마련한다는 내용에도 합의했다.
바닷물 수위 상승에 따라 위협에 노출된 섬나라 국가 등을 돕고자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메커니즘(방법)도 구축하기로 했다.
하지만 총회 내내 온실가스 배출 억제 문제를 놓고 선진국, 개도국 간에 이견이 노출되면서 실질적인 성과는 내놓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당초 합의문 초안에는 새 기후변화 협약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회원국들이 `약속(commitments)`한다는 내용이 담길 예정이었지만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과 인도의 반대로 약속보다는 의미가 떨어지는 `기여`라는 단어가 대신 합의문에 올랐다.
또 회의 막판에는 온실가스 배출 삭감 노력을 의무화한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대상을 선진국에서 모든 회원국으로 확대하자는 요구가 선진국들 사이에서 나왔으나 중국과 인도가 반대 뜻을 분명히 해 무산됐다.
무엇보다도 2012∼2020년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놓고는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미국 민간단체인 `걱정하는 과학자들의 모임`의 올든 마이어는 "회원국들은 저마다 내놓은 방안의 타당성과 공정성 평가를 위해 사용할 절차와 기준 마련에 실패했다"며 당사국 총회 결과를 비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