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현역 국회의원의 지방선거 `차출`을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금배지를 떼고 출사표를 던져야 하는 현역 의원들의 출마 러시가 이뤄질 경우, 지방선거 한달여 뒤 치러질 내년 7·30 재·보궐선거의 판이 커져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을 띠게되는 게 여권으로서는 매우 부담스러운 상황이 될 수 있어서다.
새누리당에서는 이미 내년 6월4일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열기가 달아오르기 시작하면서 광역단체장 출마를 선언한 일부 중진급 의원들은 벌써부터 표밭을 다지고 있고, 드러내놓지는 않지만 물밑 탐색전을 벌이며 출마를 저울질하는 의원들도 적지 않다.
역대 정부 출범 중간에 열리는 지방선거는 여당에 결코 유리하지는 않았으나, 현재 새누리당 지지도가 민주당에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오면서 출마를 타진하는 의원들이 줄을 잇는 것이다.
현역 의원 중 자천타천으로 거론되는 광역단체장 후보군에는 정몽준 정우택(서울), 서병수 유기준 박민식 이진복(부산), 서상기 주호영 조원진(대구), 황우여 박상은 윤상현 이학재(인천), 박성효(대전), 강길부 김기현 정갑윤 안효대(울산), 원유철 정병국(경기), 권성동 한기호 황영철(강원), 이명수 홍문표(충남), 강석호 김재원 이철우(경북) 의원 등이 있다.
문제는 이들이 출마한다면 금배지를 떼야 한다는 점이다.
국회의원이 광역단체장에 출마할 때는 내년 선거를 기준으로 선거일 20일 전인 5월15∼16일 후보등록 때에는 의원직을 포기해야 한다. 만약 더욱 적극적으로 출마 의지를 보이는 의원의 경우는 선거일 120일 전인 2월4일 예비후보로 등록할 때 의원직을 던져야 한다.
이번에도 일부는 예비후보로 등록해 `배수진`을 칠 태세다.
이렇게 광역단체장 출마로 공석이 된 지역은 내년 7월30일 재·보선의 대상이 된다. 지방선거 일정관계로 원래 재·보선이 열리는 4월에서 시기가 늦춰진 것으로, 현역 의원들의 출마가 많을수록 선거 판은 커지게 된다.
그러잖아도 선거법 위반 혐의로 2심까지 의원직 상실형을 받은 의원이 10명에 달해 7월 재·보선은 `미니 총선`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높은 상태다.
`여당의 무덤`으로 통하는 재·보선의 몸집이 불어나면 여권으로서는 여간 부담스러운 상황이 아니다.
박근혜정부 출범 후 1년 반 만에 열리는데다 전국적으로 20곳 안팎의 재·보궐 선거라는 장이 서게 되면, 정부 중간평가의 의미를 띠지 않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현재 155석으로 원내 과반의석(151석)을 간신히 넘긴 새누리당은 선거결과에 따라선 과반붕괴의 위기에 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위험분산 차원에서 "내년 지방선거에 현역 의원들의 출마를 최소화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여당 지도부에 전달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당의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방선거에 나간다는 의원들을 말릴 수도, 그렇다고 마냥 독려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라면서 "외부에서도 인재를 영입하려고 노력하지만 마땅한 인물을 찾는 게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