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과 미국 등 주요 `P5+1` 국가들 사이의 3차 핵협상이 2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가운데 구체적인 합의안이 나올지를 두고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다. 21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란과 P5+1 대표단은 3차 협상 시작일인 20일 수분 간의 짤막한 `의전상` 협의를 끝냈고 이어 사흘 일정으로 계속 회의를 열 예정이다. P5+1은 미국, 러시아, 프랑스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5곳과 독일로 구성됐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취재진에 "우리는 (문제 해결의) 첫 단계의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초기 단계다. 단언컨대 첫 단계로 이란 핵사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서방 외교가에서는 중도 성향의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행정부와 P5+1이 이번에는 `첫 단계` 타결책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는 낙관론이 나온다. 일단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협상 타결에 마음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는 이번 협상이 1979년 이후 30년 넘게 계속된 이란과의 갈등을 풀 열쇠라는 분석이다. 이란이 핵활동을 일단 중단하고 농축 우라늄량을 제한하면 P5+1이 그에 대한 대가로 경제제재를 일부 완화하는 쪽으로 접점이 잡힐 것이라는 얘기다. 미 의회 의원들은 이와 관련해 서방이 석유수출 금지 등 핵심 제재는 유지하고 국외자산 동결 등은 풀어줘 60억∼100억 달러(6조3천억원∼10조6천억원) 가량의 혜택을 이란에 줄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미국의 주요 중동 우방국인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는 협상 타결이 이란의 핵무장을 도와주는 꼴이 된다며 반대가 극심하다. 이스라엘은 20일 P5+1 일원인 러시아와 정상회담을 하고 나서 이란 내 핵 시설을 폐기하고 농축 우라늄을 전량 몰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달 미국과 회담에서 이란 제재 강화를 주문했다. AP통신은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이런 반(反)이란 공조를 `괴상한 동맹`이라고 분석했다. 애초 사이가 나빴던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란이라는 `공동의 적` 때문에 손을 잡았다는 뜻이다. 이스라엘은 인접국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자국의 최대 안보 위협으로 본다. 이슬람 수니파의 맹주인 사우디는 시아파인 이란의 핵무장을 극도로 경계한다. 핵개발 권한을 지키려는 이란 내 강경 여론도 협상을 공전시킬 수 있다. 평화적 핵개발 권리는 양보 못한다는 이란 당국에 핵 철폐 조건은 협상 테이블을 엎는 것까지 고려해야할 요구다. 농축 우라늄은 이란 핵논란의 최대 현안이다. 이란이 대량 비축한 20% 농축 우라늄은 그 자체로는 핵무기 재료가 못 되지만 재가공을 거치면 핵탄두를 만들 수 있는 90% 농축 우라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란은 현재 순도가 20%가 넘는 농축 우라늄은 보유하거나 생산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케리 미 국무장관은 이란이 계속 농축 우라늄을 만들 수 있는지는 이번 협상 타결안에서 정할 사안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