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21일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게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트윗 100만여건의 추가 확인을 계기로 대대적인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일부 직원의 `개인적인 의사표현`이라는 국정원 측 해명과 달리 지난 정부의 조직적인 선거개입 의혹이 좀 더 명확히 드러났다는 판단에 따라 특별검사 도입론에도 더욱 힘을 싣고 있다.
민주당은 검찰의 공소장 변경이 이뤄진 20일 밤 심야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수사상황 등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방향을 모색한 뒤 이날 오전 다시 긴급 최고위를 개최해 고강도 대여공세를 퍼부었다.
김한길 대표는 "분명한 것은 국정원 등 국가기관의 조직적 불법 선거개입이 대대적으로 실행됐다는 사실"이라고 규정했고, 전병헌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대국민사과를 다시 촉구한다"고 청와대를 압박했다.
양승조 최고위원도 "`제가 그렇다면 댓글 때문에 당선됐다는 건가요`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말을 다시 재고할 정도의 엄청난 일"이라고 사태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이 정도면 이명박 정부의 총체적 개입으로, 이 전 대통령에 대한 공소장도 만들어야 한다"며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여당이 특검을 받지 않는다면 정당성 상실을 자인하게 되는 것"이라고 특검을 촉구했다.
당 일각에서는 이날 경제 분야 국회 대정부질문까지 보이콧하자는 의견도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대정부질문이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무대라는 점에서 그대로 임하되, 질문을 맡은 의원실에 국정원 추가혐의에 관한 질의를 포함시키라는 지침을 하달했다.
민주당은 국회 정회시간을 이용해 서울광장에서 `국정원 불법 대선개입, 수사방해 규탄 및 해임요구` 긴급의원총회를 열고 광화문광장까지 가두행진을 벌이기로 했다.
민주당이 거리에 나선 것은 지난 9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9차 국민결의대회 이후 12일만이며, 지난 10일 천막농성장을 철거한 이후 처음이다. 소속 의원들이 법무부를 항의방문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해임건의안이 제출된 황교안 장관을 상대하는 것은 모양새가 맞지 않다고 판단해 광장으로 무대를 옮겼다.
민주당의 행보는 전면 장외투쟁으로의 전환까지는 아니지만 예산·법안 처리를 앞두고 여당과의 대립각을 한층 날카롭게 세운 것이어서 향후 투쟁노선이 어떻게 정리될지 주목된다.
한 초선의원은 "개인적으로 볼 때 당장 국회를 보이콧하기는 좀 어려운 것 같다"면서도 "검찰과 국방부의 수사를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일단 지도부 차원에서 예산과 특검을 연계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지만, 새누리당이 특검을 완강히 반대하고 있는 데다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 인준을 강행할 것으로 보여 언제든지 의사일정 거부 등의 강경론이 재부상할 가능성이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