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에서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내성 세균, 이른바 `슈퍼박테리아`가 더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소병원은 보건당국의 관리영역에서 빠져 있어 감염관리의 사각지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민현주(새누리당) 의원이 질병관리본부에 받은 감염병 표본감시기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보다 규모가 적은 중소병원(입원정원 300∼499명) 환자의 `혈액 외 검체`(침, 가래) 슈퍼박테리아 분리율이 더 높았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상급종합병원의 슈퍼박테리아 분리율(재원일 1천일 당 분리율)은 1.62건인 반면 중소병원의 분리율은 2.04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빅(Big) 5`로 불리는 5개 대형병원의 분리율은 1.32건이었고, 중소병원 가운데서도 신고자료가 없어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병원을 제외한 기관의 분리율은 3.55건으로 3배 가까운 격차를 보였다. 다만 혈액 검체에서 슈퍼박테리아 분리율은 중환자가 많은 대형병원의 특성 상 중소병원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중소병원의 감염관리 필요성이 높지만 100대 표본감시기관 중 14곳은 정부로부터 예산지원을 받으면서도 신고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민 의원은 지적했다. 또 입원정원 200명 이상이면서 중환자실이 설치되어 있는 의료기관 중 표본감시기관이 아닌 156개 병원은 정부의 지원을 전혀 못받고 있어 감염 감시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민 의원은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도 슈퍼박테리아 분리 신고를 이행하지 않는 기관에 대해 적극적인 제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200 병상 이상 병원도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 설치가 의무화된 만큼 예산지원으로 감염 관리·감독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