혓바닥이 빨갛고 오톨도톨해져 `딸기모양`으로 보이는 영유아 감염병 성홍열이 뚜렷한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채 급증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의진(새누리당) 의원이 질병관리본부의 법정감염병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 이후 제 3군 법정감염병인 성홍열 신고 3천745건 가운데 60%가 넘는 2천371건이 올들어 발생했다고 7일 밝혔다.
올들어 현재까지 신고가 들어온 성홍열 환자는 지난 2011년 전체 신고 인원 406건의 6배에 육박한다.
2011년 이후 신고된 환자 중 97%는 0∼9세 영유아였다.
지역별 신고 인원은 경기도가 1천116건으로 가장 많고 서울(430건)과 경북(365건)이 뒤를 이었다.
보건당국은 올해 갑자기 성홍열 발생이 급증한 원인이나 발생 양상 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신 의원은 지적했다.
0∼9세에서 주로 발생하는 성홍열은 고열, 인후통, 두통, 구토, 복통으로 시작해 팔다리로 발진이 퍼져나가는 증상을 보이며 특유의 `딸기모양 혀`가 나타난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낫지만 시기를 놓치면 중이염과 폐렴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악화할 수 있다. 아직 백신은 없다.
신 의원은 "성홍열 발생을 주시하고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집단감염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