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 전이를 조절하는 새로 운 기전(new-mechanism)을 발견하고 이 를 역이용해 암 전이를 억제하는 항암제 후 보물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암세포가 다른 조직으로 퍼지는 전이현상 은 암으로 인한 치사율을 높이는 가장 중요 한 원인이지만 이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약 물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 성과로 국내에서 세계적인 혁신신약이 개발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이 연구는 김성훈 서울대 융합기술대학원 교수가 이끄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 ‘ 의약바 이오컨버전스연구단’ 과 유한양행[000100], 삼성의료원 난치암사업단, 고려대 약대 전영 호 교수 등 국내외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 했다. 연구결과는 11일 세계적인 학술지 ‘ 네 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Nature Chemical Biology)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연구단은 지난해 7월 새로운 암 전이 과정 을 규명해 논문으로 발표한 바 있다. ‘ KRS’ (lysyl-tRNA synthetase)라는 효소가 암세 포에서 과도하게 발현되며, 그 중 일부는 세 포막에서 ‘ 라미닌 수용체’ 와 결합해 암세포 의 전이를 촉진한다는 내용이다. 이어 연구단은 KRS와 라미닌 수용체의 결합을 억제하는 신약 후보물질을 찾는 연 구에 착수했다. 그 결과 KRS에 결합해 KRS 와 라미닌 수용체의 결합을 차단하고 암 전 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선도물질을 개발 했다. 이 기술을 이전받은 유한양행은 약물 유 효물질의 효능을 더욱 발전시켜 처음보다 항암 활성이 크게 개선된 물질을 개발했다. 김성훈 교수는 “국내 독창적 연구로 최초 개발한 신약 타깃(작용점)인 KRS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을 도출한 사례”라며 “이번 연 구결과로 항암제가 개발되면 국내 최초의 `퍼 스트-인-클래스’ (First-In-Class; 새로운 기전으로 특정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 형 혁신 신약이 탄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학ㆍ연ㆍ산과 병원이 연합해 기초부 터 응용에 이르는 중개연구를 진행한 성공 적인 사례로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 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