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가 2형(성인)당뇨병 발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증거가 점점 확실해지고 있
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 대학, 신시내티 대학, 미시간
대학, 독일 뮌헨 공과대학의 공동연구진은
뇌에는 인슐린 또는 비인슐린 메커니즘을
통해 혈당을 조절하는 시스템이 있으며 이
시스템이 손상되면 2형당뇨병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
와 사이언스 데일리가 7일 보도했다.
정상적인 혈당 조절은 뇌의 이러한 시스
템과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세포
사이의 “고도로 조정된 상호작용”에 의해 이
루어진다고 연구진을 이끈 워싱턴 대학의
마이클 슈워츠 박사가 밝혔다.
만약 이것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2형당뇨
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
운 방법을 개발하고 나아가서는 완치도 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2형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거나 인슐린 분비는 충분한데
우리 몸의 세포가 이를 활용하는 능력이 떨
어지는 인슐린저항이 생길 때 섭취한 포도
당이 남아돌아 결국 혈당이 상승하면서 발
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학자들은 거의 한 세기전부터 혈당 조
절에는 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 후 인슐린이 연구표적이 되면
서 인슐린 생산을 증가시키고 인슐린에 대
한 민감성을 개선하는 치료제 개발에만 연
구가 집중됐다.
그러다 보니 근본적인 원인 규명을 통해
당뇨병을 완치하는 방법을 찾기보다는 당뇨
병 진행을 단순히 억제하는 데 그치는 결과
를 가져왔다고 슈워츠 박사는 지적했다.
혈당조절은 오로지 인슐린 생산 베타세포
그리고 신체조직의 인슐린을 통한 포도당
흡수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시상하부 등 뇌
의 특정 부위 회로 사이에 협력관계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슈워츠 박사는 강조했다.
즉 당뇨병은 췌장과 뇌의 이 두 시스템이
무너지면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에 따
르면 뇌의 시스템에 먼저 문제가 생길 가능
성이 크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췌장의 인슐린 생산 시스템
이 압박을 받지만 보상작용에 의해 한동안
은 계속 유지된다.
그러나 결국은 인슐린 생산 시스템에도
문제가 생기고 이 때문에 보상작용이 사라
지면서 뇌의 시스템은 더욱 곤경에 빠진다.
이러한 악순환이 계속되면 결국 당뇨병이
발생한다는 것이 슈워츠 박사의 설명이다.
당뇨병 환자에게 인슐린을 주입하면 혈당
은 정상으로 떨어지지만 이는 문제의 절반
만이 해결된 것이다. 나머지 절반인 뇌의 시
스템이 복구되어야 당뇨병이 완치된다는 것
이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 네이
처’ (Nature) 온라인판(11월7일자)에 실렸
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