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더라도 폐에 공기를 가득 채운 채 달리다가 죽고 싶습니다" 미국의 일간 뉴욕타임스는 9일(현지시간) 마라톤 풀코스를 210차례나 완주한 평범한 한국 회사원 심재덕(45·대우조선해양)씨의 이야기를 6면에 상세히 소개했다. 우선 심씨가 마라톤을 시작한 지 12년째인 2006년 5월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열린 100마일(160km) 산악마라톤 대회의 우승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영어라고는 `물`, `고맙다`는 말 외에는 전혀 못하는 무명의 심씨가 우승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당시 심씨는 비행기 값을 절약하기 위해 일본 동경과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거쳐 미국에 도착한 뒤 이틀 뒤 대회에 출전해 17시간40분45초로 우승했다. 이런 심씨는 사실 마라톤이 거의 불가능한 호흡기 질환 환자다. 폐활량이 일반인의 69.5%에 불과해 항상 입을 벌리고 생활해왔다. 수술을 받으라는 의사의 권고를 뿌리치고 1993년부터 기관지 확장증을 치료하기 위해 달리기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뛰기만 하면 코피를 쏟고 가슴이 터질 정도로 정상인보다 몸 상태가 나빴지만 1995년부터 마라톤에 출전한 이후 지금까지 모두 210차례나 완주했다. 이 가운데 42.195㎞ 풀코스를 3시간 이내에 완주하는 `서브-3`(sub-3)를 달성하지 못한 것은 단 3차례에 불과하다. 지금은 폐활량도 정상 수준으로 많아졌다. 다만 후각은 되살아나지 못했다. 그는 후각을 거의 상실해 마라톤 대회 당일에는 주변 선수들에게 자신이 싸온 음식이 상했는지를 매번 물어보곤 한다. 그는 마라톤을 시작한 지 14년뒤인 2009년 서브-3 100회를 달성했다. 이후 불과 4년만에 추가로 100회를 더 채웠다. 이와 함께 이 신문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옹이 마라톤 금메달을 따낸 것은 한국인의 자랑이라고 소개했다. 마라톤 선수층이 옅어 마라톤 약체인 한국은 황영조 선수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따냈다고 전했다. 이후 1997년 한국이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를 겪으면서 일반인 사이에도 등산과 마라톤이 엄청나게 확산했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