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전국 최고의 치매노인 종합지원체계를 구축한다.
대구시는 치매노인 보호와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을 위해 지난 2011년 10월 치매노인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의료와 복지가 연계된 지역사회 치매노인 종합지원체계 구축에 적극 나선다.
대구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9월 말 현재 285,509명으로 전체 인구의 11.4%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치매의증 자는 26,000명 정도로 추정된다.(유병율 9.1%적용)
그러나 치매는 의사 또는 한의사의 진단이 필수이므로, 우선적으로 조기검진을 통해 치매여부를 판정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광역시 최초로 개설한 대구치매관리센터는 2013년~2016년까지 노인 20만 명 검진을 목표로 치매조기검진 사업을 확대 추진해 치매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D/B를 구축할 계획이다.
치매환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상의 요양등급(1~3등급)을 받으면 요양시설이나 가정에서 서비스를 받으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하는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9월 말 현재, 230개 요양시설, 5 90개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6,700여 명의 치매노인들이 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다.
특히, 경증 치매노인은 경제적 여유가 있어도 마땅히 보호할 곳이 없는 현 체계에서 전국 최초로 경증치매 전용 치매노인종합지원시설 4개소를 개설해 150여 명에게 주간보호 및 인지재활치료 등의 예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4개소를 추가 설치, 운영할 계획이다.
대구시 이영선 사회복지여성국장은 “치매예방 및 조기검진, 진행단계별 의료지원 서비스와 연계해 요양보험제도 ⇒ 돌봄서비스 ⇒ 재가지원서비스로 이어지는 치매노인보호 3중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해, 치매문제가 더 이상 가족에게만 맡겨지지 않고 지역사회가 적극 나서서 보호와 부양을 분담하는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영준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