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 민주당 지도부가 앞다퉈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띄우기에 나섰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 임기 첫해가 끝나기도 전에 `힐러리 대망론`이 들불처럼 확산하면서 노골적으로 줄을 서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미국 정치 전문 매체인 폴리티코는 6일(현지시간) "의회 민주당 의원들이 갑자기 `클린턴 열병`에 걸렸다"며 "다음 대통령 선거가 3년이나 남았지만 당 지도부의 지지 선언이 산더미처럼 쌓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 취임식 준비위원장이었던 척 슈머(뉴욕) 상원의원은 지난 주말 아이오와주에서 열린 당 행사에서 "2016년은 힐러리의 해"라고 단언했다. 그는 "힐러리는 티파티(공화당 내 강경 세력)를 견제할 민주당의 확실한 대안이고, 그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승리할 것이며 우리 모두 승리할 것"이라고 치켜세웠다. 그러자 해리 리드(네바다)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가 자기가 슈머 의원보다 먼저 `힐러리 밴드왜건`(승산이 있는 유력 후보에게 편승하는 것)에 올라탔다고 주장했다. 리드 대표는 5일 언론 인터뷰에서 "종종 슈머 의원에게 언론에 선수를 빼앗기기는 하지만, 내가 슈머 의원보다 먼저 힐러리가 아주 아주 좋은 후보가 될 것이며 그가 출마하면 좋겠다는 의사를 오래전에 밝혔다"고 말했다. 민주당전국위원회(DNC) 의장 출신이자 오바마 대통령의 측근인 팀 케인(버지니아) 상원의원도 질세라 클린턴 전 장관의 편에 섰다. 그는 "(힐러리) 클린턴이 백악관 주인 자리를 놓고 벌어지는 경선과 대선에 나서는 걸 보고 싶다. 정말 대단한 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클린턴 전 장관이 대권 도전에 나서지 않을 경우 유력한 대안으로 거론되는 커스틴 질리브랜드(뉴욕) 상원의원도 일단 `힐러리 지지` 대열에 동참했다. 지난 2008년 대선 후보 경선에 당시 상원의원이던 클린턴 전 장관이 나섰을 때 그의 자리를 대신 차지한 질리브랜드 의원은 4개월 전 조찬에서 출마를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0년 대선 경선 때 앨 고어, 2004년 존 케리 후보를 위해 일했던 민주당 전략가인 태드 디바인은 폴리티코 인터뷰에서 "힐러리는 범접할 수 없는 선두주자로, 현직 대통령을 제외하고 지난 40년간 가장 강력한 후보"라며 "그러니 현직 의원들이 앞다퉈 줄을 서는 것은 당연하다"고 진단했다. 또 내년 중간선거에서 클린턴 전 장관의 지지 선언과 유세 및 선거 자금 모금 행사에서의 지원을 끌어내려는 포석도 있다고 덧붙였다. 내년 중간선거에서 하원이 새로 구성되면 당내 1위 자리를 또 맡으려는 의향을 표명한 낸시 펠로시(캘리포니아) 하원 민주당 원내대표도 최근 인터뷰에서 클린턴 전 장관을 지지하겠다는 의중을 나타냈다. 펠로시 대표는 의회 전문 매체인 힐(The Hill)에 "힐러리가 나오면 적임자가 될 것이다. 가장 준비가 잘 된 후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 바이든 부통령도 재능 있고 명망 있는 인물임이 분명하지만 힐러리가 출마한다면 여론은 힐러리 편"이라고 덧붙였다. 상원 민주당 여성의원들은 올해 초 `힐러리 출마`를 권유하는 비밀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2008년 경선 때 일찌감치 오바마 후보 지지 선언을 했던 클레어 매카스킬(미주리) 상원의원도 `이제는 힐러리가 최적임자`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모든 의원이 `힐러리 받들기`에 골몰하는 것은 아니다. 톰 하킨(아이오와) 상원의원은 "우리는 항상 대통령 선거 얘기만 한다. 2016년 대선을 거론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고 지적했다. 2008년 대선 때 바이든 부통령을 지지했던 톰 카퍼(델라웨어) 상원의원도 "대선이 3년이나 남았고 당장 처리해야 할 국가적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 누가 후보가 돼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