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미국 오리건주의 가정주부 줄리 키스(43)는 중국제 핼러윈 장식소품 꾸러미를 풀다가 바닥에 떨어진 편지 한통을 발견했다.
영어와 중국어가 섞인 이 편지에는 중국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에 있는 마싼자(馬三家) 노동교화원이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자행한 잔혹행위에 대해 세세하게 폭로돼 있었다.
이 편지를 쓴 수감자는 "우연히 이 제품을 구입했다면 이 편지를 세계인권단체에 보내주세요. 평생 고마움을 잊지 않을게요"라며 눈물로 도움을 호소했다.
이 편지는 키스의 제보로 미국 현지 언론에 소개된 후 미국과 서방세계 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현지 언론들이 이들 교화원에 대한 고발기사를 잇따라 보도하는 등 큰 반향을 일으켰다.
CNN 베이징지국은 이 보도 이후 몇 달간 수소문 끝에 실제 편지를 쓴 주인공을 어렵게 만났다고 6일(현지시간) 전했다.
중국 당국의 보복이 두려워 자신을 `장 씨`라고만 밝힌 이 남성은 교화원을 출소한 뒤 현재 베이징에 거주하고 있다.
장 씨는 중국 정부가 불법으로 규정한 파룬궁 신도로,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이 열리기 몇 달 전 경찰에게 붙잡혀 2년6개월형을 받고 중국 북동부의 마싼자 노동교화원에 구금됐다.
"거기 있는 사람들(교화원)은 상상하는 게 불가능합니다. 그들이 첫 번째로 하는 것은 인간의 존엄을 말살하고 굴욕감을 안겨주는 것이었습니다."
장 씨는 자신처럼 굴복하지 않는 수감자들을 중심으로 주기적인 구타와 잠 안재우기, 고문 등을 자행했다고 폭로했다.
장 씨와 유사한 시기에 교화원에 수감됐던 리우 후아는 새벽 4시15분에 일어나 아침 6시부터 정오까지 일을 하고 30분간 점심식사 후 다시 오후 5시30분까지 일을 해야 했다고 전한 뒤, 하지만 때때로 자정까지 일하기도 했으며, 일을 제때 끝내지 못하면 벌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리우는 특히 혈압과 영양실조로 어지럼증이 발병했는데도 치료를 거부당했으며, 저항하는 태도를 보이자 다른 수감자를 시켜 구타해 기절했지만 깨어난 후 곧바로 다시 일을 해야만 했다면서 "그곳은 지옥"이라고 치를 떨었다.
장 씨는 2008년 이 같은 사실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정치교화시간에 사용하는 연습장 종이와 펜 등을 훔쳐낸 뒤 잠자는 시간에 감시의 눈을 피해 2∼3일에 한통씩 모두 20여 통의 편지를 작성해 핼러윈 소품상자에 넣었다고 전했다.
"감시자의 눈을 피하려고 누워서 벽 쪽으로 등을 돌려 누워 한 손으로 겨우 편지를 쓸 수 있었습니다. 대학졸업자이지만 영어로 교화원의 정확한 상황을 전달하기 어려워 한자와 섞어 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편지는 4년이 지난 후 미국 서부의 한 가정집에서 발견돼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장 씨는 이후 키스의 노력으로 자신의 편지가 세계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을 알고 감사편지를 보냈다고 말했다.
CNN은 취재결과, 장 씨 등이 수감돼 있던 교화원은 지난 9월 중순 문을 닫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1957년 도입된 중국의 노동교화제도는 경찰이 매춘과 마약중독, 절도 등 범죄를 저지른 자들을 판결 없이 최고 4년형에 처해 노동교화원에 구금하는 제도이지만, 정치범이나 파룬궁 신도 등 반정부 세력을 격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중국에 새 지도부가 들어선 이후 조만간 이 제도를 폐지할 것이라는 징후들이 나오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실제로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이 제도에 대한 개혁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으며, 중국 고위외교관도 유엔 인권포럼에서 이 총리와 유사한 발언을 재확인했다.
인권운동가들은 그러나 노동교화원 제도가 폐지되더라도 다른 교도소 수감원들은 이와 비슷한 노동환경에서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 씨의 편지를 처음 발견한 키스는 CNN에 "당시 구입한 소품은 피 흘리는 묘지 소품이었는데 이 소품을 만드는 사람들이 실제로 피를 흘리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라며 "지금은 제품을 구입할 때 꼭 상표를 확인하고 되도록 중국 제품은 사지 않는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