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 제3당인 통합진보당이 창당 2년만에 존폐의 기로에 놓였다.
정부가 5일 국무회의에서 헌정사상 처음으로 진보당에 대한 정당해산심판을 헌법재판소에 청구키로 의결했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소는 6개월 이내에 진보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헌법이 정한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지를 심리해 정당 해산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위헌심판이 내려지면 진보당은 해산,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진보당은 19대 총선을 앞둔 지난 2011년 12월 5일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통합연대가 통합해 탄생한 진보 정당이다. 출범 당시에는 각 세력의 대표였던 이정희·유시민·심상정 공동대표 체제로 출발했다.
진보 진영의 단일대오로 기대감을 모았던 진보당은 지난해 4·11 총선에서 민주당과의 연대를 통해 진보정당 역사상 최다 의석인 13석을 얻으며 원내 제3당으로 발돋움 했다.
그러나 총선 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비례대표 부정경선 논란이 빚어지면서 위기가 시작됐다.
당 진상조사위가 비례대표 경선을 `총체적 부정선거`로 결론짓자 당권파는 진상조사 결과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발했고, 비당권파는 당권파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양측간 갈등이 촉발됐다.
특히 비례대표 경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한 이석기 의원이 부정경선 논란과 검찰 수사 과정에서 민족해방(NL) 계열 경기동부연합의 핵심 인물임이 알려지고 "애국가는 국가가 아니다"라는 발언까지 더해지면서 종북 논란까지 휘몰아쳤다.
진보당은 이 의원을 제명하기 위한 의원총회까지 열었지만 찬성이 과반에 이르지 않아 부결되는 등 극심한 내홍 끝에 지난해 9월 분당 사태로까지 이어졌다.
진보당은 지난해 대선에서 이정희 대표를 후보로 내세웠다.
이 후보는 TV토론에서 "박근혜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했다"고 주장하는 등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맹공했으나 오히려 이로 인해 역풍에 시달렸다.
이 후보의 거친 공세가 오히려 부동층 표심을 박 후보로 쏠리게 했다는 `대선패배 책임론`이 제기된 것이다.
여기에 지난 8월말 불거진 이석기 의원 등의 내란음모 의혹 사건은 진보당을 사면초가로 모는 치명타가 됐다. 이번에 정부가 진보당 해산심판을 청구한 것도 이 사건이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다.
이 의원을 비롯해 연루된 진보당 당직자들은 현재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으며 재판 결과가 앞으로 헌재의 결정에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