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경북도와 경북경찰청에서 실시된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국감에서 황영철 국회의원은 “경북 원전지역 119안전센터 및 구조대 방사선보호복 전부가 노후됐다”고 지적했다.
황 의원은 경북 방사선보호복의 경우 33벌을 보유하고 있으나 90.9%에 달하는 30벌이 노후돼 대구, 광주에 이어 전국 시도 중 하위 3위라고 지적하고 경주 월성, 울진 한울 원자력 발전소 등 경북지역에 원전이 위치하고 있는데, 원전사고 발생 시 발생하는 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이에 대해 경북도의 대책을 따졌다.
또 경북경찰청의 5대 범죄 검거율은 최근 5년 간 전국 평균 검거율 이하 수준으로 낮으며 2008년 대비 2012년도 검거율은 9.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민생 치안 활동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 것인지를 질의했다.
윤재욱 의원은 경북경찰청이 최근 3년 간 147명이 규율위반 37, 직무태만 38, 품위손상 37, 금품수수 4건 등으로 파면 2, 해임 9, 강등 9, 정직 19, 감봉 42, 견책 66명으로 징계를 받았고 특히 수사업무와 관계없는 개인정보 유출사례까지 발생하는 등 근무기강 해이를 지적하고 대책을 촉구했다.
그리고 민주당 유대운(서울 강북 을)의원은 지난 2010년 이후 경북도 및 시ㆍ군에서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단속된 공무원 50명 가운데 무혐의 처분된 3명과 당연 퇴직한 4명 등 7명을 제외한 43명 중 실제 징계가 이뤄진 공무언은 정직 1명, 견책 4명 등 5명에 불과하고 지방공무원법상 징계가 아닌 불문경고 9, 훈계 9, 주의 2명이었고 아무런 조치도 받지않은 공무원이 18명이나 된다며 경북도의 선거법 위반자 솜방망이처벌을 지적했다.
이 밖에 이재오 의원은 행정구역 체제개편의 필요성 및 방향, 진선미 의원은 구미 불산사고 이후 화학사고에 대한 대체 점검을, 강기윤 의원은 경북 수도권 기업 지방유치 부진대책을, 김현 의원은 감사원의 안동의료원 인사부정 조치를, 박남춘 의원은 경북도가 최근 3년간 부과한 지방세 333억원에 대한 대책을 묻는 등 질의가 쏟아졌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 22일 농해수위 국정감사를 시작으로, 29일 안행위 국정감사와 오는 11월 6일부터 14일간 시행하는 경상북도의회의 행정사무감사가 예고돼 있고 도의회 행정사무감사가 끝나면 바로 감사원법에 의한 감사원 감사가 진행되는 등 감사로 점철되고 있다. 신영길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