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는 투쟁의 서막일 뿐이다."
민주당이 이번 주 끝나는 국감 이후 정국에서 대여투쟁 강도를 더 높일 태세다. 이번 국감에서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등 나름대로 성과를 올렸다고 자평하며 벌써부터 `포스트 국감`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다.
민주당은 27일 오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따라 연다. 국감 이후의 대여투쟁전략에 대한 여론을 수렴하고 투쟁의지를 다지기 위해서다. 일요일에 두 회의를 잇따라 여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비상한 각오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당 핵심 관계자는 2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황교안 법무장관, 남재준 국가정보원장, 조영곤 서울중앙지검장 등 `3인방`의 해임과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면서 전열을 정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병두 전략홍보본부장은 "국감을 통해서 검찰 수뇌부의 직권남용, 수사방해, 위증교사 등의 문제가 많이 드러났으니 이런 부분을 정리해서 요구하는 바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국감이 끝나면 국정원 정치·대선 개입 의혹 사건에서 불거진 수사 외압 의혹, 국군사이버사령부의 정치댓글 활동 등에 대한 싸움을 본격화할 방침이라고 공공연하게 `선전포고`하고 있다. 특히 국감에서 문제점을 충분히 드러낸 만큼 재발을 막고 개선책을 마련하는데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민주당은 두 사건에 대해 국정조사 또는 특검을 정식 제기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국회 의사일정을 보이콧하고 장외투쟁에 힘을 더 실어야 한다는 강경 주장도 나오고 있다. 지도부는 일단 `원내외 병행투쟁 강화` 기조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다음주에 국회 운영위의 청와대 국감, 정보위의 국정원 국감이 예정돼 있고, 이후에는 대정부질문과 각 상임위의 법안 심사 및 예산안 처리, 예결특위 가동 등이 기다리고 있는 만큼 원내에서 고강도 투쟁을 통해 여권에 대한 비판과 견제라는 야당의 역할을 행동으로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싸울 수 있는 장(場)이 열려 있는데 밖으로만 나갈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 신임 감사원장과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도 현정부 인사난맥상이나 기초연금 문제를 비롯한 복지공약 후퇴 등의 공세를 이어가겠다고 단단히 벼르고 있다.
장외투쟁도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감 기간 소강상태였던 대규모 장외집회를 11월부터 주말 등을 이용해 수시로 개최해 정치쟁점을 국민에게 널리 홍보하고 여권을 압박할 방침이다.
국정원 개혁 등을 위해 시민사회단체 및 종교계와 연계한 `범국민연대`의 얼개도 조만간 구체화해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대여투쟁의 사령부`로서 역할하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