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척추협착증 수술환자 100명 중 14명은 5년 안에 다시 수술을 받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천기·김치헌 교수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공동으로 지난 2003년 허리 척추협착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만1천27명을 5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회지 `스파인 저널(Spine Journal)` 최신호에 실렸다.
최근의 수술 경향을 반영한 모든 연령의 환자에 대한 연구는 이번 연구가 유일하다.
연구팀에 따르면 척추협착증 수술환자 중 7.2%는 첫 수술 후 1년 내에, 9.4%는 2년 내에, 11.1%는 3년 내에, 12.5%는 4년 내에, 14.2%(누적 재수술률)는 5년 내에 재수술 받았다.
척추협착증은 척추 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눌리기 때문에 다리가 아프고 마비증세가 발생한다. 허리 통증의 원인 중 디스크 다음으로 많다.
척추협착증 수술은 크게 감압술(신경이 눌리는 것을 펴주는 수술)과 유합술(감압술 후 척추뼈를 고정하는 것을 추가하는 것)로 나뉜다. 1990년대에는 유합술이 10%였으나 최근에는 20~30%로 늘고 있다.
재수술은 과거 수술을 받았던 부위뿐 아니라 수술을 받지 않았던 부위의 허리에 추가 수술을 받는 것으로, 재발뿐 아니라 원인 불구하고 다시 수술이 필요한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재수술은 수술 후 결과가 불완전한 경우 외에도 퇴행성 변화로 말미암은 인접 부위 변화 등 다양한 경우에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재수술률에 대한 국내 연구자료는 그간 없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