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서부의 모리타니와 중남미 아이티가 현재 노예문제가 가장 심각한 국가로 꼽혔다. 호주의 인권단체인 워크프리재단(WFF)은 세계 162개국을 대상으로 강제노동, 아동노동, 인신매매 등 현대판 노예제 관행을 조사해 이런 내용의 `2013년 세계 노예 지수` 보고서를 16일(현지시간) 인터넷으로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서쪽의 소국 모리타니는 인구당 노예비율과 아동결혼·인신매매 수준을 합산한 `노예문제` 평균 측정치가 100점 만점 중 97.9점에 달해 조사 대상국 중 수치가 가장 높았다. 모리타니는 국민 380만명 중 약 4%(15만1천명)가 노예 상태로 일부 인권 단체에서는 이 나라 노예 비율이 최대 20%이라는 추산도 나온다. 모리타니의 노예제는 주로 조선시대 노비처럼 대물림되는 형태로 운영된다. 현지 정부는 노예와 인신매매를 금지했지만 국토 4분의 3이 사막이라 당국의 단속이 유명무실한 곳이 많다. 중남미 최빈국 아이티는 아동 노예인 `레스타베크`(restavek)로 악명이 높다. `함께 지낸다`는 프랑스어에서 이름이 파생된 이 제도는 농촌 어린이가 가난을 못 견뎌 다른 집에서 종살이를 하는 것이 골자다. WFF는 노예 상태인 아이티인이 인구 1천만여명 중 약 2%(20만9천여명)이고 노예문제 측정치는 52.26점으로 세계 2위였다고 밝혔다. 파키스탄과 인도도 문제가 컸다. 파키스탄은 아동 강제노동과 채무형 노동 등으로 자유를 잃은 사람이 210만여명(인구 1억7천900만명 중 1.1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12억명의 대국 인도는 성 인신매매, 강제결혼, 아동납치 등 착취 관행으로 1천390만여명이 고통을 받고 있다. 인도 내 노예 수는 전 세계 노예의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다. 동유럽 내륙국인 몰도바는 독일과 미국 등지의 성(性) 산업과 건설현장에 사실상 노예 신분인 인력을 대거 `수출`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네팔도 다른 나라로 이주한 근로자들의 인권유린·착취 문제가 극심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아프리카의 베냉, 코트디부아르, 감비아, 가봉도 노예문제 측정치가 최상위인 10대 국가에 포함됐다. WFF는 전 세계 노예 수를 약 2천980만명으로 추산하면서 조사 국가 중 노예문제 측정치가 1.0점으로 최하위였던 아이슬란드에서도 100명 미만의 노예 사례가 있었다고 밝혔다. WFF의 수석 연구원인 케빈 베일스(영국 헐대학교 교수)는 "조사 결과 영국이나 핀란드 같은 선진국의 노예도 해당 국가들이 당초 생각하는 것보다 6∼10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고 외신은 전했다. 한국은 전체 인구 5천만명 중 1만451명이 노예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노예문제 측정치는 2.32점으로 162개국 중 하위권인 137위였다. 북한은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전국에 5만9천여명의 노예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미국은 노예문제 측정치가 2.77점으로 134위였다. 중국은 294만9천여명이 착취·억압 상태였고 측정치는 8.59점(84위)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