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추진한 시민들의 행복프로젝트가 당초에 예상하지 못했던 갖가지 암초에 부딪쳐, 과연 이게 앞으로 시민들의 행복프로제트가 완성될 것인가에 대한 각가지 걸림돌이 암초와 같이 가로막고 있다.
당초의 계획은 영일만항 및 산업단지 개발, 경제자유구역 조성, 포항 테크노파크 2단지 조성, 포항 블루밸리 조성, 동빈내항 조성 등이었다.
이런 것들 중에서 겨우 북구 흥해읍 죽천리ㆍ용한리 일원에서 시행되는 영일만항 및 산업단지 개발 사업 일부가 추진되고 있을 뿐이다. 그 외에는 블루밸리 국가산단 조성 사업은 LH공사의 과도한 부채로 미뤄왔으나, 최근 토지감정을 통한 보상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를 강력하게 추진했던 이상득 의원이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암초에 걸렸다고 한다.
이를 보건데 당초부터 전적으로 이상득 의원에게 의지하여 추진하려 했다면, 잘못이 아닌가 한다. 의원은 지역보다 국정을 우선 추진하는 공직이다. 포항시민의 행복이 한 국회의원의 의지에 매달렸다면, 이도 큰 잘못이라고도 말할 수가 있다는 여론이 현재 팽배하다.
또 흥해읍 대현리와 이인리 경제자유구역 조성도 시행사인 LH공사가 포기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6,000억 원을 상회하는 금액을 투자할 국내외 기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연일읍 학전리, 달전리 일원의 포항테크노파크단지 조성은 지난 2008년 사전 환경영향 평가에서 상수원 보호구역 내에 위치하여 유효 거리 10km내에 산업단지 입지가 불가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무리하게 추진했었다. 이도 상수원 자체를 옮기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동빈내항 복원사업도 사업비가 당초보다 200억 원 가량이 증액됨에 따라 집행부와 의회가 마찰을 빚고 있다. 이는 잘만 하면, 계속 추진이 가능하다.
또한 영일만대교도 건설비 1조4,000억 원을 민간자본 유치로써 하려고 했으나, 현재 민간 투자자가 없는 형편이다. 어느 하나 시원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포항시민 행복프로젝트이다. 그러니, 포항시민의 행복도 이제부터는 그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게 되었다고 보는 게 맞지 않는가 한다.
포항시가 이제부터라도 포항시 High5 프로젝트를 다시 현실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실에서 불가능한 일을 그냥 붙잡고 있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다. 판을 다시 짜야 한다. 시민들에게 솔직하게 고백하고 행복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보고해야 한다. 이게 바로 시민행복프로젝트를 다시금 앞으로 나아갈 수가 있는 바른 길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