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공습 결정권이 사실상 미국 의회로 넘어가면서 세계 각국 외교전에 불이 붙었다.
미국·프랑스 등 서방진영은 화학무기 학살 증거를 내세우면서 응징 `불가피론` 굳히기에 나선 반면 이란 등 시리아 우방은 공습이 분쟁만 키운다면서 국제사회에 군사개입 반대론을 설파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9일 이후 시리아 공습안을 의회 표결에 부칠 예정인 미국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의회 설득 작업에 돌입한 가운데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정권에 대한 비판 수위를 계속 높이고 있다.
존 케리 국무장관은 지난 1일(현지시간)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알아사드 대통령을 미국의 주적이던 독일 아돌프 히틀러와 이라크 사담 후세인에 비유하면서 군사개입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프랑스 정부도 알아사드 정권이 화학무기 학살의 장본인이라는 첩보기관 보고서를 2일 공개해 시리아 응징론에 힘을 실어줬다.
서방진영은 이번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회담에서도 화학무기 학살 증거를 제시하면서 시리아의 핵심 우방국인 러시아를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고 영국 가디언이 2일 전했다.
시리아와 국경을 맞댄 미국 우방인 이스라엘과 터키도 공습 지지 여론에 합류했다.
이스라엘의 시몬 페레스 대통령은 2일 이스라엘군 라디오 인터뷰에서 "(시리아 사태와 관련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도덕적 입장과 군사작전 방안을 확실하게 믿는다. 미국이 시리아에 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스라엘은 시리아가 오바마 행정부의 신뢰성을 판가름할 시험대라면서 이번 사태를 엄중히 지켜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미국이 `화학무기 금지선`까지 넘은 시리아를 제대로 응징하지 못한다면 이스라엘의 숙적 이란의 핵무장도 막기 어렵게 된다는 관측 때문이다.
터키는 미국 공습의 보복 조치로 시리아가 자국을 공격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면서 민심 진정에 나섰다.
국무총리 수석보좌관인 얄신 악도간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인 터키를 공격하면 사태가 전혀 다른 국면으로 돌아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맞서 서방의 군사개입을 저지하려는 시리아 우방국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란의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은 최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일부 국가 외무장관을 연락해 시리아 사태의 평화적 해법을 강조했다고 중국 신화통신이 3일 보도했다.
자리프 외무장관은 전화통화에서 시리아 군사개입이 통제할 수 없는 위태로운 결과만 빚는다면서 국제 사회가 외교중재 등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미(反美) 성향인 쿠바와 베네수엘라도 미국 주도의 시리아 공습이 파국만 불러온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쿠바는 외무부 성명에서 유엔의 반 사무총장이 직접 `공격적인` 외교조치로 시리아 공습을 무산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베네수엘라의 엘리아스 하우아 밀라노 외무장관은 평화 회담만이 시리아 사태의 해법이라고 지적했다.
반 사무총장은 3일 한국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10곳에 시리아 화학무기 학살에 관한 진상조사 경과를 통보할 예정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