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아메바 감염에 따른 뇌수막염으로 12세 소년이 숨졌다고 지난 24일(현지시간) CNN방송이 보도했다. 재커리 레이나라는 이름의 이 소년은 `뇌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희귀 아메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Naegleria Fowleri) 감염으로 병원 치료를 받다 사망했다. 레이나의 가족은 "(병과의) 전쟁은 끝났지만 재커리는 승리했다"며 페이스북을 통해 그의 사망 사실을 알렸다. 가족들은 또한 레이나의 장기를 기증했다고 덧붙였다. 레이나는 지난 3일 집 근처 개울에서 물놀이를 한 뒤 온종일 잠을 자는 등 이상 증상을 보여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이후 뇌수술을 거쳐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감염에 따른 뇌수막염 진단을 받았다. 의료진은 수주 전 아칸소주에서 10대 소녀 치료에 사용된 항아메바 시험약물을 투여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했다. 아칸소주에서 네글레리아 파울러리에 감염된 칼리 하딕(12·여)은 이 시험약물 치료를 통해 회복됐다. 하딕은 지난 50년간 미국에서 이 아메바에 감염됐다가 살아남은 세 번째 생존자라고 CNN은 전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네글레리아 파울러리는 온천이나 따듯한 민물에서 주로 발견되며 코를 통해 사람 몸 안에 들어가 뇌 속을 돌아다닌다. 감염자의 증상은 두통과 발열, 메스꺼움, 구토 등에서 시작돼 집중력 저하, 환각 등으로 이어진다. 병세 진행도 빨라 감염자들은 보통 처음 증상을 보인 뒤 12일 내에 사망에 이른다. 미국에서는 2001∼2010년 32건의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감염 사례가 보고됐으며 이 가운데 대부분이 남동부 지역에서 발생했다. 플로리다주 보건부는 레이나의 감염 사실을 확인한 뒤 네글레리아 파울러리가 서식하기 좋은 따뜻하고 얕은 물에서 수영을 피하라고 경고했다. 아칸소주 보건부의 더크 에이슬로 박사는 "이 아메바 감염은 지금까지 알려진 가운데 심각한 종류로 감염자의 99%가 사망에 이른다"고 말했다.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