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7일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를 시작으로 안동댐, 해평취수장, 강정고령보 등 낙동강 수계 주요 시설을 방문해 물관리 현안을 점검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대구·경북 지역에 안정적으로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사전 조치이자, 낙동강 수질 개선과 녹조 문제 대응을 위한 실태 파악 차원에서 이뤄졌다.첫 방문지인 석포제련소는 아연 제련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돼 낙동강 수질 악화, 토양 오염, 산림 훼손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온 곳이다. 2021년 봉화군은 제련소 부지 내 오염토에 대해 정화 명령을 내렸으나, 업체는 기한인 2024년 6월 말까지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봉화군은 고발 조치와 함께 정화 명령을 재부과했고, 환경부도 관련 법에 따라 조업정지 10일 처분 절차에 들어갔다.김 장관은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최상류에 있어 하류 지역 주민들의 수질 불안을 유발하고 있다”며 “환경 안전을 강화하고, 이전 문제도 관계자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광산이 폐광된 후 제련소는 이전했어야 했으며, 경북도 TF를 통해 기업과 지자체가 현실적 대안을 마련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이후 김 장관은 안동댐, 영주댐, 구미 해평취수장, 대구 강정고령보 등을 차례로 점검했다. 그는 산업단지와 농업지대가 밀집한 낙동강을 따라 수질 관리 실태와 상수원 확보 방안을 직접 확인하고, 물 이용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 해소를 위한 여건도 살폈다.또한 여름철 집중 발생하는 낙동강 녹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부의 고도정수 처리, 조류 차단막 운영, 오염원 차단 활동 현황도 점검했다. 영주댐과 강정고령보에선 보 개방 가능성과 농업용수·지하수 영향 등에 대한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환경부는 상류에서 하류로 물을 끌어오는 ‘취수원 이전’ 문제에 따른 지역 갈등을 줄이고, 주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도 병행할 방침이다.한편 김 장관은 최근 금강과 영산강의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승촌보, 하굿둑 등도 잇따라 방문하며 4대강 물관리 현장 중심의 정책 점검을 이어가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