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100억 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포항 ‘형산강 마리나 계류장 조성 사업’이 부실시공 등으로 예산 낭비는 물론 중대한 행정 과실을 초래하자, 이에 따른 책임 규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거액의 시민혈세가 투입된 마리나 계류장이 준공된지 1년6개월이 지났지만, 단 한차례도 사용조차 못하고 있는데다, 시설 일부는 항주파로 인해 지속적인 파손이 발생하고 있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이러한 상태에서 태풍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계류장 시설이 심각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단순한 예산 낭비를 넘어 시민의 생명과 재산까지 위협할 수 있는 중차대한 행정 실패라는 여론이 팽배하다.무엇보다 각 시설의 지반 조건과 하중 조건의 차이를 무시한 채 일률적인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성 검토 소홀 및 설계상의 중대한 하자라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이 때문에 ‘형산강 마리나 계류장’은 2023년 말 준공됐지만 단 한번도 운영되지 못하면서, 혈세낭비는 물론 설계·시공 과정의 기술적·행정적 하자 문제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포항시의회는 시정질문 등을 통해 여러 차례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집행부의 개선의지가 불투명해지자.마침내 감사원 감사 청구로 계류장 조성과정의 문제점을 낱낱이 밝히기로 했다.포항시의회(의장 김일만)는 지난달 31일 포항시가 1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추진한 ‘형산강 마리나 계류장 조성 사업’ 전반에 걸친 부실 행정과 안전성 문제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를 촉구하며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했다.시의회는 사업 초기부터 마리나 계류장의 부적절한 위치 선정, 부실한 설계 및 시공, 반복적인 시설물 파손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 증가 등 예산 낭비 문제를 지속적으로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해 왔다.김하영 의원은 지난해 제318회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이 사업의 전반적인 부실 행정과 구조 안전성 미확보 문제를 제기하며, 포항시의 명확한 해명과 대책 마련을 지속적으로 촉구한 바 있다.특히 수심이 얕고 조류의 흐름이 강해 계류장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장소였지만, 포항시가 구태여 이곳을 부지로 선정한데 따른 책임론이 일고 있다.이같은 이유로 시의회는 이곳이 애초부터 계류장 입지로 부적합한 위치였다며 사업 추진의 타당성에 심각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주장했다.김철수 건설도시위원회 위원장은 “형산강 마리나 계류장 사업은 위치 선정부터 설계, 시공, 준공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부실 행정의 전형을 보여주는 사례로 시의회의 반복된 문제 제기에도 포항시는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했다”고 강조했다.이어 “1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 계류장이 준공된 지 1년 6개월이 지나도록 단 한 차례도 운영되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어 시설물의 계속된 파손, 막대한 유지보수 예산 소모는 물론 시민 안전도 위협받고 있다”고 감사 청구 이유를 설명했다.이번 공익감사 청구 내용에는 ▲부적절한 위치 선정 및 의회 지적 무시 ▲실시설계 과정의 절차적 하자 ▲설계·시공의 구조적 부실 ▲준공도서 및 시공 실태의 부실 ▲운영 부서의 인수 거부 및 기능상 문제 ▲정책 결정 및 예산 집행의 책임 문제 ▲준공 이후 하자와 유지보수 발생 등 사업 전반의 문제점이 포함됐다.김일만 의장은 “이번 공익감사 청구를 통해 형산강 마리나 계류장 조성 사업의 부실을 바로잡고, 행정에 대한 시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시의회는 지역에서 추진되는 각종 사업이 당초 사업 취지와 시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시민들의 혈세로 조성된 예산이 낭비되지 않도록 시정 견제라는 의회의 본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한편 포항시는 수상레포츠산업의 활성화을 목적으로 송도동 형산강 하구에 해상 60척, 육상 14척 등 총 74척을 정박할 수 있는 보트 계류장을 계획하고 2020년 7월 착공했다. 시는 도비 56억6,000만 원, 시비 35억 원 등 총 100억 원을 투입해 2023년 12월 4만5,892㎡의 계류장을 준공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