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2차 에코붐 세대`(1991~1995년생) 효과로 출생아 수가 급증하면서 아동복 시장이 활기를 띠는 모습이다.최근 수년간 지속된 `텐포켓`(집안의 아이 한 명을 위해 부모뿐만 아니라 조부모, 삼촌, 이모 등 약 10명이 지갑을 연다는 의미) 현상에 2차 에코붐 세대 영향이 맞물려 아동복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29일 업계와 통계청 `5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올해 1∼5월 누계 출생아 수는 10만6048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81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 이후 11개월 연속 증가세다. 5월 출생아 수 증가율 역시 같은 달을 기준으로 2011년 5월(5.3%) 이후 14년 만에 최고다.5월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가임 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75명으로 지난해보다 0.02명 늘었다.5월 혼인 건수는 2만1761건으로 1년 전보다 840건(4%) 늘어났다. 혼인 건수는 지난해 4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세다. 1~5월 누적 혼인 건수 9만9386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6.7% 상승했다.출생아 수가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2차 에코붐 세대`가 결혼과 출산 적령기에 진입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결혼에 대한 이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개선되면서 혼인 건수도 증가했다.   아동복 시장도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2차 에코붐세대가 키즈 상품 소비 주축으로 떠오르면서다.W컨셉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키즈 카테고리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배 증가했다.세부적으로는 △실내복, 원피스, 아우터 등 의류 890% △샌들, 스니커즈 등 신발 1700% △모자, 양말 등 액세서리 3350% △장난감, 출산·육아용품 등 키즈용품 3220%로 전 카테고리가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특히 출생 직후 신생아부터 24개월 미만 영아를 위한 상품을 선보이는 `베이비` 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아동복 시장은 지난 수년간 저출산 시대 아동 인구수 감소에도 `VIB`(Very Important Baby), `골드 키즈`, `텐포켓` 등의 소비 트렌드로 외려 거래가 증가했다.여기에 혼인 및 출산 증가가 아동복 시장 활황을 부추기는 모양새다. 팬데믹으로 미뤄진 결혼 수요가 몰리며 메아리(에코)처럼 출생붐이 다시 일어나고 있어서다.한 업계 관계자는 "결혼적령기에 들어선 20~30대 핵심 고객층의 수요가 높아지며 키즈 상품 매출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패션 및 유통 업계가 이 같은 수요를 공략해 아동복 브랜드를 론칭하고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