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서상진기자]의대생·전공의들의 복귀를 둘러싼 특혜 논란에 대해 교육부가 “학생들의 상처를 보듬어야 한다”고 밝히자 의료계가 환영한다는 입장과 함께 의대 교육 정상화, 수련의 정상화를 통한 대한민국 의료의 정상화를 위해 보다 더 전향적인 노력을 촉구하고 나섰다.서울시의사회는 28일 성명서를 통해 "교육부의 입장 표명은 단순한 행정조치가 아닌, 지난 1년 6개월간 깊은 상처를 입은 교육 현장을 진심으로 복원하려는 뜻깊은 ‘공감의 결단’"이라며 "교육부의 실행이 현장에서 신속히 실현될 수 있도록 모든 협조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앞서 교육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의대생 복귀에 대한 ‘특혜 논란’과 관련해 “학생들의 상처를 보듬고 어떻게 교육을 잘할지에 대해서 결정해야 할 때”라는 입장을 내놨다.이에 대해 의사회는 "학생들의 복귀는 단지 시간표 복구가 아닌, 교육의 연속성과 의료 시스템의 복원을 위한 첫걸음"이라며 "이를 뒷받침하는 교육부의 결단은 미래 세대를 위한 ‘책임 있는 행정’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환영했다.또한, 의사회는 교육부에 각 대학의 학사 운영 계획이 교육의 질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점검과 협의 체계를 강화해 줄 것을 제안했다.의사회는 "빠른 복귀만을 목표로 하는 형식적 운영이 아닌, 실질적 교육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세부 계획이 수립되고 이행돼야 하는 만큼 서울시의사회는 현장 의료진과 함께 그 과정을 면밀히 지켜보겠다"고 말했다.특히, "정당한 사유로 잠시 교육 현장을 떠났던 학생들까지 포용하는 조치가 병행돼야 진정한 교육 회복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교육 형평성과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필수 요소"라며 "아직 복귀하지 못한 일부 휴학생, 개별 사정으로 유예된 전공의들에 대해서도 공정하고 탄력적인 복귀 기회가 제공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와 함께 의사회는 "이번 결정을 시작으로, 향후 의학교육 제도 개편과 의료인력 정책 수립 과정에서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이어가야 할 뿐만 아니라 단발적 조치가 아닌 구조적 회복을 위해 재정적·제도적 뒷받침이 동반돼야 한다"며 "특히 의과대학 커리큘럼의 일관성 확보와 전공의 수련 연계에 대한 장기적 플랜이 요구된다"고 정부와 국회에 당부했다.아울러 "우리는 교육부의 입장을 국민 생명과 교육 회복을 위한 책임 있는 선택으로 받아들이며, 그 실행이 현장에서 신속히 실현될 수 있도록 모든 협조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의사회는 교육의 정상화, 수련의 연속성 확보, 국민건강권 수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