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중국의 저가 공세, 글로벌 경기 침체, 미국의 철강 관세폭탄까지 겹치며 철강업계와 지역 경제가 동시에 무너지고 있어 정부의 강도 높은 대책마련이 절실하다.중국을 비롯한 신흥국들의 지속적인 생산 증가로 글로벌 철강 과잉 생산능력이 6억톤에 육박하면서 국내 철강산업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이같은 상황에서 미국발 25% 철강 관세폭탄까지 가세하며 포항 지역 경제는 고사위기에 직면하고 있다.이 여파로 철강업계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2021년 13.9%에서 2024년 2.8%로 급락했다. 철강산업 침체로 포스코는 이미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과 1선재공장을 폐쇄했고, 현대제철도 포항2공장의 가동을 중단하는 등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다.지역의 근간 산업인 철강산업이 위기에 몰리면서 연관 산업은 물론 지역 상권도 동시에 무너지고 있다. 한국은행 포항본부에 따르면 포항국가산단 가동률은 1년 사이 93.1%에서 76%로 급감했으며, 포항철강산단의 5월 생산액은 전년 동월 대비 7.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포항의 명동으로 불리던 중앙상가는 2018년 228개 영업 점포에서 2023년 182개, 2024년 11월에는 146개로 줄어들었다.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침체로 지역 경제가 고사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정부가 적극 나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이상휘 국회의원(포항 남‧울릉)은 국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대한민국 철강산업이 사상 초유의 위기에 처해 있다”며 정부의 즉각적이고 강도 높은 대응을 촉구했다 . 이 의원은 “포항은 철강산업의 심장이자 대한민국 제조업의 토대” 라며 “포항이 무너지면 철강이 무너지고,철강이 무너지면 대한민국 산업의 뿌리가 흔들릴 것이다. “정부와 국회가 지금 골든 타임을 놓치지 말고 위기극복에 함께 나서달라 ”고 호소했다. 또 “포항을 즉각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고, 긴급 재정 · 금융 지원에 착수해야 한다”며 “전력 요금 부담 완화, 맞춤형 금융 지원,중소 협력업체 보호 등 직접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철강산업이 어려움에 직면하자, 포항지역 경제계도 발벗고 나섰다.포항상공회의소 나주영 회장은 지난 21일 국민제안 플랫폼 ‘모두의 광장’에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건의안을 올리고 정부와 국회의 발빠른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나주영 회장은 건의문을 통해 “포항은 철강산업에 지역경제의 절반 이상을 의존하고 있는 구조적 특성을 지닌 대표 철강도시이다, 최근 수년 사이 벌어지고 있는 대기업업들의 수출물량 축소,중소협력업체의 연쇄 도산,청년고용 감소 등으로 산업 생태계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며 “이같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철강산업지원법을 하루속히 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이어 “철강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이고 철강의 붕괴는 곧 산업 기반의 붕괴를 의미한다”며 “특별법 제정은 철강업계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며 고사직전에 몰린 지역 경제를 구하기 위해서는 지금이 바로 지원법 제정의 골든 타임이다”고 덧붙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