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의 한 새마을금고(A금고)가 수년째 계속된 개인정보 유출 사건과 이사장 선거를 둘러싼 각종 의혹으로 지역사회에 큰 물의를 빚고 있다. 2022년 8월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단순한 내부 관리 실패를 넘어, 선거를 위한 조직적인 정보 유출 정황이 드러나면서 금융기관의 신뢰 근간을 뒤흔들고 있다.특히 해당 사건은 단지 개인정보 유출에 그치지 않고, 이사장 해임과 선거 결과에까지 연결됐다는 점에서 사안의 중대성이 매우 크다. 출자회원 명부를 확보해 이를 기반으로 대의원 구성에 개입하고, 이후 이사장 불신임 및 이사장 선거에까지 활용했다는 일련의 흐름은 명백한 민주적 절차 왜곡이다. 더 나아가 개인정보를 이용해 금고의 권력을 장악하려 한 시도는 새마을금고라는 지역금융기관의 공공성과 도덕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행위다.문제는 이 사건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 2023년 12월 대의원 선거에서 상당수의 인사가 교체됐고, 이들 중 다수가 개인정보 유출 사건과 관련된 인물과 연관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후 2024년 6월에는 임시 대의원총회를 통해 이사장이 해임됐고, 올해 3월 전국 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에서는 유출 사건에 연루됐던 인물의 배우자가 당선됐다. 이 일련의 사건들이 독립적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 지역사회와 금고 내부 인사들의 중론이다.여기에 당선된 C이사장을 둘러싼 선거법 위반 고소 사건까지 더해지며 A금고는 사실상 내홍 상태다. 이사장의 이력 허위 논란, 선거공보물 내용 조작, 금고 성과 과장 등 위탁선거법 위반 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해당 선거의 정당성은 물론 금고 전체의 운영 정당성에도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새마을금고는 지역민의 출자로 운영되는 금융기관이다. 특정인의 사익을 위해 조합원의 정보가 유출되고, 그 정보로 조직을 장악하려는 시도가 벌어진다면 이는 민주적 운영 원칙을 근본부터 무너뜨리는 일이며,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민들에게 돌아간다.관련 재판은 현재 진행 중이다. 법원은 개인정보 유출 사건의 1심 선고를 다음달로 예고했고, 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제 공은 사법부와 수사기관에 넘어갔다. 엄정한 수사와 단호한 법적 처벌만이 A금고의 신뢰 회복을 위한 유일한 길이다.
또한 제도적 미비도 시급히 보완돼야 한다. 출자회원 명부의 접근·열람 권한을 철저히 제한하고, 임원 선거 과정에 대한 중앙회 차원의 감독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대의원 구성 과정도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로 정비돼야만 한다.지역 사회의 신뢰를 기반으로 운영돼야 할 새마을금고가 권력다툼의 무대로 전락해선 안 된다. 공정한 수사와 단호한 처벌, 제도 정비가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시점이다. 그렇지 않다면, 이와 유사한 사건은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