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시 남구 동해면 동해지구 토지구획정리 사업지에 무단으로 반입된 수만 루베의 사토로 토양이 오염될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늑장 행정으로 사토 반출은 실제로 700루베에 불과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특히 17일 포항지역에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많은 비가 내려 오염된 사토에 빗물이 스며들면서 환경 오염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문제는 이번에 대량으로 반입된 사토는 과거 환경 오염 논란이 제기됐던 포항 형산강 섬안큰다리 유수지 및 컨벤션센터 건립 공사현장, 죽도시장 복개천 침하 복구 현장 등에서 발생한 2만7천루베의 사토가 무단으로 반입됐다는 점이다.무단으로 반입된 사토량은 25톤 덤프트럭 2,100여대로 채워야하는 엄청난 분량이기 때문에 자칫 집중호우시 사토의 오염 물질이 양질의 토양에 스며들 우려가 나온다.
게다가 동해지구 토지구획정리지구에서 2년에 걸쳐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을 대량으로 파쇄해 비산먼지가 날리면서, 인근 주민들이 소음과 분진에 시달려 온 것으로 드러났다.
다시말해 주거지인 구획정리지구가 재선층 감염목 파쇄처리장으로 선정됨으로 인해 동해면 뿐만아니라 오천읍,대송면 등 인근 지역의 감염목까지 이곳에 집하시켜 대량의 감염목을 파쇄한 것이 화를 더욱 키웠다는 것이다.주민들은 “동해면뿐만 아니라 타지역의 감염목까지 이곳에서 파쇄하다보니 처리량은 눈덩이처럼 커졌고, 우리들은 수시로 비산먼지와 소음에 시달려왔다.”며 “재선충이 발생한 임야에서 파쇄작업을 하면 되는데 하필이면 주거지에 들어와서 먼지와 소음공해를 일으켜 주민건강을 위협하면서까지 작업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토로했다.포항시에 따르면 동해지구 토지구획정리지구에서 올해 5천톤의 소나무 재선충감염목을 파쇄했고, 지난해에도 4천여톤을 파쇄했다.주민들이 버젓이 거주하고 있는 주거지에 대량의 사토가 반입되는가 하면 재선충감염목까지 파쇄하면서 환경오염 문제가 불거지자, 주민 건강을 도외시하고 무분별하게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시행해 온 조합에 대해 실시계획 인가를 취소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포항환경운동연합은 “동해지구 토지구획정리지구에 무단 반입한 흙은 적은 비에도 가축분뇨 같은 침출수가 흐르고 고이는 등 환경문제가 심각하다”며 “이것은 약전1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해면 전체의 문제이며 인근 지역 영일만 시금치·부추 농업용수 오염과 도구해수욕장 등 해안 오염을 야기하는 심각한 사안이다.”고 밝혔다.또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규명하는 차원에서 동해지구의 토지구획정리사업 실시계획 인가를 조속히 취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매립지 주변의 피해주민들이 대부분 80대 고령자에다 철강공단 근로자들인 만큼 생활기반 취약지 주민들의 환경권 보호를 위해 더욱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며“포항시는 오염토 적치 경위를 명백히 밝히고 법적, 행정적 책임을 져야한다. 단순히 원상복구 명령에서 나아가 책임을 규명해 관련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또 다른 문제는 이 사업지구는 이미 지난 2023년 11월에 공사중지 명령이 내려진 상태였지만, 허가없이 무단으로 수만 루베의 사토를 반입해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는 것이다.포항시는 문제의 토지구획정리지구에 무단으로 반입된 대량의 사토에 대해 지난 6월말 원상복구 명령을 내린 상태다. 하지만 죽도시장 복개천 공사현장 사토 700루베만 반출되고 사토 2만6천여톤은 그대로 방치돼 있어 최근 내린 집중호우에 환경오염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특히 죽도시장 복개천 오염토를 구획지구에 적치하면서 바닥에 비닐을 깔지 않고 양질의 토양에 오염토를 마구 적재해 토질오염이 크게 우려돼 왔다.포항시 관계자는 “새로운 사토장 물색등에 시간이 걸리지만 문제의 사토를 조속한 시일내에 반출 처리하겠다”며 “재선충 감염목 파쇄 처리장을 구하기가 어렵다보니 주거지인 이곳이 선정된 것으로 보인다. 민원이 발생한 이상 더 이상 이곳에서 처리하지 않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한편 포항 동해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은 남구 동해면 도구,신정,약전리 일원 62만 8939㎡에 1992년에 실시계획인가를 받아 수차례에 걸쳐 사업기간을 연장을 해왔지만, 조합의 경영난으로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