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상주박물관은 지난 2021년부터 박물관 소장 `고전적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사업은 수장고에 잠들어 있던 옛 선인들의 기록을 하나하나 정리하고 해제해 고전적의 내용을 간략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아울러 2023년부터 고전적 번역사업도 병행해 진행하고 있으며, 그 성과로 현재 5종 6책의 번역총서가 간행됐다.
그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1책인 `형제급난도`는 상주시 출신 유학자 월간 이전(1558~11648)과 창석 이준(1560~1635) 형제가 보여준 깊은 우애를 주제로 1604년 중국 화공이 그린 그림과 당대 문인들의 시문을 함께 엮은 작품으로 필사본과 목판본을 아울러 번역했다.
2책 `후계선생문집`은 조선전기 상주를 중심으로 활동한 교육자 후계 김범(1512~1566)의 시문과 후인들이 지은 전후문자(傳後文字)가 수록된 문집을 번역한 것이다.
3책 `입재선생연보`는 조선후기 대표적 유학자 입재 정종로(1738~1816)에 대한 후손들의 기록인 `입재선생세계도`와 `입재선생별집` 제10~11권을 중심으로 번역한 연보이다.
4책 `곡구원기별집`은 19세기 상주지역 문장가 곡구원 정상관(1776~1820)의 시문집 `곡구원기`에 포함되지 않은 시문을 담은 필사본 별집으로 새로운 문학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마지막 5책 `석당유집`은 조선말기 상주출신 유학자 석당 이형교(1835~1908)의 문집 4권 2책 가운데 본인의 시문이 담긴 제1~3권과 후인들이 그의 생애와 학덕을 기록한 제4권을 각각 `석당유집 1`과 `석당유집 2`로 나눠 번역한 것이다.윤호필 상주박물관장은 “향후 박물관 소장 고전적 기록화 사업과 번역총서 간행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사명감을 가지고 지역박물관의 역할을 다할 것이며, 아울러 상주의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는 데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번역된 고전적 번역서는 기증·기탁자와 관계 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며, 일반 시민들에게는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