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초부터 이어진 이례적 폭염이 일상을 뒤흔들고 있다. 연일 35도를 웃도는 고온 속에 열대야까지 겹치면서 시민들의 일상은 물론 건강까지 위협받고 있다. 실제로 5월 이후 온열질환자는 870여 명, 사망자는 7명에 달하며 지난해보다 피해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특히 전체 환자의 3분의 1이 고령층이며, 지역적으로는 경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폭염은 더 이상 여름철 불청객이 아니라 명백한 재난이다. 이상기후의 일환으로 해마다 강도가 거세지고 빈도도 잦아지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도 ‘기후재난 관리’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대응’이다. 야외 근로자나 농민 등 직접적인 폭염 노출자에 대한 현장 예찰과 휴식공간 제공, 이동식 냉방 장치 확대는 생명을 보호하는 최소한의 장치다. 무더위에 쓰러지는 일이 없도록 일터에서도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산업부가 밝힌 바에 따르면 7월 7일 전력수요는 93.4GW로 역대 7월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기도 전의 기록이라는 점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방증한다. 전력수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지만, 갑작스러운 수요 폭증에 대비해 전력 인프라와 냉방취약계층 지원 정책도 동시에 점검돼야 할 것이다.또한 장기적으로는 폭염 대응을 넘어서 폭염을 줄이기 위한 도시 인프라 개편도 필요하다. 쿨루프 도입, 그늘막 확충, 도시숲 조성 등 폭염 저감 시설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국지성 집중호우, 역대급 폭염 등 기후변화는 더 이상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니다. 8일 동해안에 100kg 이상 대형 참다랑어가 1300마리씩 떼로 잡히는 기이한 해양 생태 변화에서부터 우리 삶의 터전까지, 전방위적으로 일상이 변화하고 있다.    폭염 대응은 ‘기후위기 적응’의 출발점이자 시민 생명을 지키는 국가의 기본 책무다. 폭염을 일시적 기상이변이 아닌 상시 재난으로 인식하고, 더 촘촘하고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설 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