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의 장바구니가 갈수록 가벼워지고 있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최근 발표된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로, 수치상으론 정부의 물가관리 목표선에 부합하지만 체감은 전혀 그렇지 않다. 라면, 계란, 고등어, 김치, 커피 등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품목의 줄줄이 오른 가격이 서민 경제에 적잖은 타격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물가상승은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상이란 점에서 특히 우려스럽다. 경기침체기 서민들이 찾는 저가 소비재 가격이 오르면서, 실질적으로 취약계층일수록 더 큰 부담을 지게 된다. 계란과 라면 같은 대표적인 서민 먹거리부터 고등어, 오징어 같은 생선류까지 고루 인상된 데다 외식 물가와 개인서비스 요금도 줄줄이 오르고 있다. 기상악화, 조업 공백기, 국제정세 불안 등 외부 요인도 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인건비 부담이 겹쳐 전반적인 생산비용이 높아진 구조적 원인도 크다.그렇다고 이를 마냥 시장 논리에만 맡길 수는 없다. 물가의 핵심은 단순한 경제지표가 아닌 국민 삶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특히 불황기 서민들의 실질 소득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생활필수품마저 가격이 오르면, 이는 생존의 문제로 직결된다.더욱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안이 확정되면 인건비 부담을 이유로 소상공인과 중소업체의 가격 인상이 다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곧 물가 전반을 자극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재명 정부는 이러한 구조적 리스크를 외면해선 안 된다.정부는 지금이야말로 물가 안정과 생계비 부담 완화를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아야 할 때다. 정부와 한국은행이 올해 추경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서민의 시선에선 다르다. 통계상 상승률이 2%대라고 해도,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물가’는 그 이상이다.이재명 정부가 출범 초기의 정국 혼란을 넘어서 이제는 국민 삶의 무게를 바로 들여다보고 책임 있는 경제정책으로 응답할 때다. 경제적 약자의 삶을 보듬는 정책이야말로 민생 안정의 첫걸음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