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 초반을 기록하며 안정되는 듯 하나, 일부 식품 가격은 큰 폭으로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보다 2.1% 상승했다. 상반기 기준으로 2021년(2.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22년(4.6%), 2023년(3.9%), 지난해(2.8%)에 비해 상승폭이 점차 줄어드는 모습이다.다만 품목별로 차이가 뚜렷했다. 특히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수산물 가격은 상반기에 5.1% 올랐고, 축산물도 4.3% 상승했다. 업계의 가격 줄인상이 이어진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도 3.7%, 3.1% 올랐다.반면 지난해 과일값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과일 물가는 6.1% 하락하며 농산물 전체 물가는 1.6% 낮아졌다.품목별 상승률을 보면 무 가격이 54.0% 오르며 전체 품목 중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보리쌀은 42.0% 뛰었고, 오징어채(39.9%), 배추(27.0%), 김(25.1%)도 크게 올랐다. 찹쌀 가격은 23.8% 상승했다.초콜릿(17.0%)과 시리얼(9.9%), 커피(8.8%) 등 가공식품도 평균 이상으로 상승했다.이 외에도 컴퓨터 수리비(27.9%) 등 일부 서비스 가격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올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연초 경제정책방향에서 연간 상승률을 1.8%로 제시했으며, 한국은행은 1.9%를 전망한 바 있다.다만 기상 여건에 따른 수급 불안과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등 상방 요인, 유가 하락과 내수 부진 등 하방 요인이 맞물리면서 물가 흐름에 불확실성이 여전하다.정부는 향후 발표할 경제정책방향에서 물가 전망을 재점검할 계획이다. 물가당국은 주요 농축산물과 가공식품 가격 동향을 모니터링하며 관련한 대책을 순차적으로 내놓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