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상수기자]경북연구원 권용석 연구위원과 이지훈 연구원은 3일 `CEO Briefing` 제727호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경북형 자연자산 관리모델`이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북은 전국 유일의 3대 자연자산이 밀집한 지역경북도는 육상, 수계, 연안의 3대 자연자산이 동시에 집적된 전국 유일의 광역권으로, 산림만으로도 연간 54.9조 원에 달하는 공익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국토 최대 수자원인 낙동강 수계와 생물다양성이 뛰어난 동해안 연안, 그리고 백두대간에 이르는 광범위한 보호지역이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 기후위기의 심화로 인해 2023년 집중호우와 2025년 초대형 산불 등 대규모 자연재해가 연이어 발생했고, 이로 인한 연간 피해액은 약 7조원에 달하며, 이는 농업·수자원·산림·관광 등 다양한 부문에 걸쳐 연쇄적인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경북 자연자산에 관한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 제기경북도의 자연자산 관리는 여전히 1:25,000 토지피복도와 같은 저해상도 자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관별로 상이한 좌표계와 속성체계를 사용함에 따라 통합적 데이터 분석과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시·군별로 각각 수립하는 자연자산 관련 계획들은 행정경계를 기준으로 구획돼 생태적 연속성이 고려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광역 단위의 자연자산 관리가 단절되고 있다. 또한, 경북도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비율이 26%에 달하고, 산림 소유자 수는 34만명에 이르는 등 구조적으로 현장 관리가 어려운 여건에 처해 있으며, 산림예산 중 재난 예방 분야 예산은 전체의 11%에 불과하고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이다.▷(1단계) 디지털 기반 정밀 생태정보 인프라 구축경북도는 전 시·군을 대상으로 1:5,000 축척의 도시생태현황도와 0.3m급 해상도의 항공 LiDAR, 위성 영상 등을 활용한 디지털트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정밀한 자연자원 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ISO 19115 표준 메타데이터 및 Open API 체계를 기반으로 구축돼야 하며, 산림청, 환경부, 행정안전부 등 유관 부처 간 재난 및 자원정보의 실시간 연계가 가능한 통합관리체계로 발전해야 한다.▷(2단계) AI·디지털트윈 기반 재해예측 및 실시간 대응경북도는 도시생태현황도에서 도출된 비오톱 등급, 지형 경사, 고해상도 DEM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 100m 격자 단위의 산불 및 산사태 위험도 예측 AI 모델을 개발하여 운용할 수 있다. 드론 및 저궤도 위성을 통해 수집되는 영상 정보를 디지털트윈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이를 통해 변화하는 화선과 붕괴선을 자동으로 갱신하며, 소방 CAD 및 위치기반 문자(LBS) 시스템과 연계해 긴급 대응체계를 고도화할 수 있다.▷(3단계) 생태금융 도입을 통한 자연자산의 지속가능한 관리체계 확립글로벌 환경규제인 ‘자연자본 공시(Nature-related Disclosure)’ 제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북도는 도시생태현황도 기반의 자연자원 데이터를 활용해 탄소저장, 열완화, 수질정화 등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정량화하고, 이를 경북형 생태 신용평가표로 구조화해야 한다. 이 평가표는 녹색채권(Green Bond) 발행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향후 산불예방 임도 정비, 그린버퍼 조성, 디지털트윈 유지보수 등 기후대응 사업에 대한 재정기반으로 연결된다. 또한, 사유림을 탄소상쇄 외부사업으로 등록하여 배출권을 확보하고, 자발적 탄소시장(VCM) 참여를 통해 실질적 수익과 민간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경북도는 자연자산의 보존을 넘어서 디지털 기술과 생태금융을 접목함으로써 지역 맞춤형 생태주권을 실현하고, 자연자산을 경제·문화 자산으로 전환하는 선도적 정책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