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NI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2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25 가명정보 활용 협력 네트워크 - Combination Day`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Combination Day는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 결합·활용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보유한 기관들이 참여해 가명정보 활용 성과를 공유하고 결합 사례를 발굴하는 소통과 교류의 장이다.
NIA는 국내 최초 가명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22년부터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법률・기술・재정 등 가명정보 활용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과 결합 지원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행정・정책 개선 및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이번 행사는 다양한 데이터를 보유・활용하는 100여 개 기업·기관 160명이 참여해 데이터 보유 현황을 공유하고, 가명정보 결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융합데이터 생산 및 활용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지난해에는 이동통신, 신용카드 소비, 신용정보, 스포츠 멤버십, 은행정보, 모빌리티 등 다양한 이종 데이터를 결합해 1인 가구 안전관리, 청년 금융 실태 분석, 농업인 가계 현황 분석 등 실질적인 정책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올해는 소상공인을 위한 지역화폐 효과분석, 상권 재편을 위한 관광지 소비분석, 외국인 생활인구 분석 등을 위한 가명정보 결합을 지원할 예정이며, 추가로 성과 창출이 가능한 활용 사례도 지속적으로 발굴・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공공데이터 제공 및 데이터기반행정 평가에 가명정보 제공 실적이 포함되면서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관심이 높았으며, 데이터 실무 담당자들이 참여한 분과회의에서는 가명정보 결합 기획을 위한 시나리오와 향후 일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가 활발히 이뤄졌다.
NIA는 참여 기관을 대상으로 △가명정보 결합 기획 및 컨설팅 △결합 프로세스 및 기술 지원 △분석 결과 제공 및 정책 제언 △언론 홍보 등 다양한 실무 지원을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
황종성 NIA 원장은 “가명정보 활용은 잠자고 있는 데이터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혁신의 핵심”라며, “NIA는 공공과 민관의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국민 생활 개선과 정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